상단여백
HOME 메디팜플러스 탐사보도
[제약농단②]뼈깎는 쇄신 원희목호 의지만 남았다업계 대관·실무 담당들 '죽어라 일만'...협회 고위 임원들, 농단·모사·왜곡 '연연'

"업계, 더이상 눈뜨고 바라만 볼수 없다는 절체절명 절실함 반영돼야"

한국제약바이오협회내 약꾸라지의 제약농단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지난 3월초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에 원희목 전 대한약사회장이 취임함으로써 협회 안팎의 분위기는 다소 고무적이었다.

'회장 공백'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고 또 새 포대에 담길 신임 회장에 대한 일말의 기대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 회장이 취임 15일만인 지난달 16일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제약산업은 국민산업'라며 대명제화하고 범부처를 넘어선 위정자의 강력한 역할론을 제기하고 나섰지만 눈앞 현실은 그리 녹녹치 만은 않아 보여서다.

현 협회를 바라보는 업계의 시각이 우호적이지 않은 이유다.

특히 대내외적으로 업무추진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로 콕 박혀 있는 약꾸라지 농단 의혹으로 자행된 협회의 왜곡, 모사, 책임회피 등으로 점철된 적폐를 일소하진 않고선 공염불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제약농단 중심의 한 켠에 섰을 것으로 보이는 고위 임원들의 업계와 불통, 책임회피성 행각 등 케케묵은 폐단의 틀을 깨고 가지 않고서는 얼퀴설퀴 엉킨 실타레를 풀어내기는 요원하다는 것이다.

심지어 업계 대외협력·실무자들이 마음 놓고 협회에 의견을 제시하면서 소통할수 있는 환경 조성은 전혀 돼 있지 않은데다 심심치 않게 벌어지는 실제 현장의 왜곡 현상 또한 가뜩이나 힘들어 하는 이들을 곤혹스럽게 한지 오래다.

그러다 보니 협회의 '무한 책임론'이 업계 비판의 핵심 키워드다.

업계는 이를 두고 "이제는 협회 스스로 비지니스가 아닌 제약산업을 위한다면 제3자 입장에서 업무 추진에 앞서 보다 객관적인 재평가를 해 봐야 할 시점에 와 있다"며 "다만 몇몇 특정 제약사나 이사장단사가 내리는 평가가 돼서는 안된다"고 그간 반복돼 온 실익없는 업무 추진에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여기에 원 회장이 '정부의 R&D투자지원 규모를 20%대로 끌려 올리겠다'고 호언장담하고 '현행 여러 약가인하 기전으로 인해 R&D투자의욕 마저 꺾이지 않을지"우려를 나타냈지만 서둘러야 했던 것은 국민들을 설득할 명분 제시다.

정부가 약가를 인하하지 않겠끔 국민을 설득해 낼 실효성 있는 구체적인 논리의 근거가 부족해 보인다는 것이다.

▶업계"약가·R&D투자 지원 운운에 앞서 국민 설득 명분 근거 제시했어야"
더욱이 고령화 사회로 치닫고 있는데다 보험재정 또한 날로 늘어나는 상황에서 이런 주장은 설득력이 전혀 없어 보인다.

역대 수장들처럼 가시적인 약가제도 개선을 들먹이며 정부에 책임을 전가하는 듯한 발언 역시 같은 맥락이다.

그간 긴 세월 앵무새처럼 되뇌온 그나물에 그밥인 셈이다.

결국 그 많은 시간과 의지를 투자했음에도 이런 것들이 가지런히 정리가 되지 않는다면 시간이 갈수록 산업이 아닌 특정제약사와 함께 가는 비지니스로 회귀할 것이란 부정적인 지적이 조심스럽게 흘러나오는 이유다.

때문에 협회가 걸아가야할 글로벌 신약 개발이란 통 큰 목표는 수면아래로 가라앉고 만다.

국민을 설득해 가고 정부를 이해시키면서 업계의 대관업무가 왜곡되지 않게 정확한 목표를 향해 키를 쥐고 나가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그럼에도 모든 게 수포로 돌아간다면 마음편한 쪽이 비지니스란 종착역 아니겠느냐는 따끔한 일침이다.

제약바이오협회에 정통한 제약사 한 임원은 "원희목호가 내세운 약가인하, 세제혜택, 일자리창출 등은 역대 회장들이 취임초 내세운 일성이며 그간의 정책제안과 별반 차이가 없다"며 "새로운 것은 대통령 직속 제약바이오 혁신위원회 설친데 이도 저도 안되면 그저 관행처럼 굳어진 비지니스로 되돌아 가지 않겠느냐는 게 일반적인 생각"이라고 별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정책 제안도 단기간에 이뤄질수 없는데다 내부의 통렬한 혁파없이는 희망사항에 불구하다"며 "먼 훗날을 내다본다면 우선 업무추진 과정의 왜곡, 업계 대외·실무부서와 협회 고위 임원간 불통, 책임회피 등 환부부터 도려내는 아픔을 감수하지 않고선 이뤄내긴 쉽지 않아 보인다"고 강력한 쇄신을 주문하고 나섰다.

▶"원희목호, 업계 실무 부서와 협회 고위 임원간 불통 등 환부 도려내야"
업계 관계자 충언맞다나 기존의 내용을 답습하는 것도 문제지만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실행해 나갈 구체적인 추진 틀이 없다는 것도 더 큰 문제다.

이 가운데 소통 혁신은 그간 역대 수장들의 취임 일성이었지만 전혀 손도 보지 못한채 약꾸라지, 약순실(?)이라는 내부 농단 의혹 사태에 장단 맞춰 온 게 협회의 자화상이다.

여기에 상대적 카운트 파트너인 정부와 업무를 추진하는 인허가, R&D, 재평가 등 업계 대외협력 실무자들은 여전히 필드에서 껄끄러움을 실감하고 있는 현실이라 엎친데 덮친꼴이다.

업계는 "이번에도 협회가 너무 포괄적으로 뭘 하겠다고 나오긴 했지만 구체적인 방안이 전혀 보이질 않는다"고 의구심을 드러낸게 이를 방증한다.

협회는 업계의 현안을 공개적으로 알리고 협의하는 대변자 역할을 하는 공식 단체다. 그래서 업계에서는 공식적이고 대외적으로 소통의 대표 역할을 잘 해달고 막대한 연회비를 내며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지난달 16일 제약협회에서 열린 출입기자간담회에서 원희목 신임 회장이 소통과 혁신을 취임 과제로 설정하고 적극 추진할 것임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그간 협회가 이제까지 대정부 업무를 투명하게 처리를 해 왔다고 강조해 왔지만 뭐가 투명했는지를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한 적이 한 번도 없다는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 예로 이전 바이오의약품팀이 식약처 바이오정책국을 상대로 실제 업무를 추진하면서 고위 임원들이 한 역할은 무엇이냐 이를 재평가해봐야 한다는 게 업계의 강한 질타다.

그래야만 "협회 위상에 걸맞는 성과가 나올 것이며 관련 업무 또한 이전보다 더 매끄럽게 진행되지 않겠느냐"는 지적이다.

그래서 제약바이오협회 명칭 변경에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있는 까닭이다.

더욱이 바이오 분야 뿐아니라 인허가, 약가, 재평가 등 여타 업무 추진에 있어 식약처, 복지부 실무자들과 원활한 소통이 돼 왔는지 아니면 약꾸라지 농단에 의해 왜곡된 채 꼬여 왔었는지를 늦었지만 하나하나 뜯어보고 손질해 나갈 시점이다.

그럼에도 같은 문제들이 숱하게 불거져 나올때 마다 책임있는 자리에 앉아 있는 고액 연봉의 고위 임원들의 책임 회피성 행각은 그저 수면아래에 묻혀있곤 했다는 전언이다.

심지어 인허가 부처인 식약처 마저 업계 대외·실무자들과의 공식회의 석상에서 '당신네들은 인허가보다는 약가 협상에만 주력하면 어떻겠느냐'는 비아냥을 들어왔던 모멸감 또한 오늘 내일의 얘기는 아닌때문이다.

제약사 대외 실무 부서는 "협회는 말로만 내적 쇄신 운운하며 끝내 유야무야 되는 식으로 그치고만 게 이미 십수 년째"라면서 "이젠 원회목호가 나서 뭔가 변화를 만들어 가야 하지 않겠느냐"고 일말의 희망도 언급하며 힘을 실었다.

▶'새회장 선임을 놓고 끊임없는 잡음'..."J전 식약처차장-L전 장관 놓고도 저울질"
이같은 협회의 명암은 곧 차기 회장 인선를 둘러싸고 끊임없이 제기돼온 안팎의 잡음에 근거하고 있다.

지난 1월12일 이경호 전 회장이 돌연 사의 표명후 지난 48일간의 공백기간 현실 직시로 약삭빠르게 편가르기에 섰을 약꾸라지 제2 활약상(?)에 대한 염려도 내포돼 있는 것이다.

당초 이사장단사는 원희목 협회장을 비롯 L 전 복지부 장관, J 전 식약처 차장 등 3배수 인선안을 놓고 저울질 한 것으로 알려졌다.

추천설이 외부에 공개되자 마자 업계 안팎에선 J 전 식약처 차장이 가장 유력한 회장 후보에 거론되면서 초읽기에 들어 간 것 아니냐는 시각이 우세했었다.

때문에 업계 대외협력 실무 직원들 사이에서는 이젠 비지니스가 아닌 제약산업육성 쪽으로 잰걸음화할 것이란 긍정적인 반응들과 기대감으로 한껏 고무됐었다는 후문이다.

하지만 막상 인선 결과 때문에 과거로의 또 회귀아니냐 불안감과 함께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이에 대해 익명을 요구한 제약사 임원은 "실무적으로 제약산업이 발전하려면 관련 중앙부처와 긴밀한 유대관계가 돼야 하는데 당초 회장 후보 물망에 J 전 식약처 차장이 오르내렸다는 것은 추후 관련 부처와의 업무상 부딪혀야할 상황을 매끄럽게 풀어갈 현명한 사전 포석아니겠느냐"면서 "결국 선임안에 들지 못하면서 향후 껄끄러운 관계가 계속될 소지가 높아 우려된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그렇지 않아도 그간 인허가 업무와 관련 곳곳서 식약처와 파열음을 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앞으로 임상, 인허가, 재평가를 대외 실무자들이 수행함에 있어 더욱 어려움을 겪을 소지가 높다"고 우려섞인 목소리를 전했다.

또 다른 제약사 임원은 "J 전 차장과 L 전 장관의 탈락을 후배들이 그냥 보고만 있을 것이냐, (공직자 윤리규정이 있지만) 나중에 자기들이 혹여 갈수 있지도 모를 자리 아니었겠느냐고 생각하고 있을텐데, 역풍을 맞을수 있지 않겠느냐"는 싸늘한 반응이다.

▲제약협회 대회의장에 걸려 있는 역대 이사장 및 회장 사진들 모습.

그 대표적인 사례가 사단법인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다.

현재 식약처 출신 국장이 퇴임후 수장자리에 영전(?)한 게 이를 방증한다.

제약산업이 원활하게 추진돼 나가려면 인허가 등 관리감독 관련 부처와 긴밀하게 소통해 가야 하는 엄중한 현실을 감안해야 하는 이유다.

이렇게 가도 모자랄 판에 오히려 퇴로를 막아서는 꼴이 됐다는 볼멘소리다.

▶업계 대외·실무자들, "협회 고위 임원들 왜곡에 '분노'....대관업무시 피부로 실감"
실제 현장을 누비고 다니는 업계 대외 실무자들 입장에서는 이를 피부로 실감할 정도다. 그만큼 정부와 협업 관계가 절실하다는 게 이들의 한결같은 생각이다.

제약사 인허가, 임상, 재평가 등 실무 부서는 "협회 역대 수장들이 여럿이 바뀌어 왔지만 전혀 업무에는 영향받은 바 없었고 오히려 책임 있는 고위 임원들의 업무 왜곡이나 잇속 챙기기에 나서는 바람에 소통은 고사하고 실무자들만 죽어라 일만 하는 꼴"이라며 한결같은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렇다, 일부 고위 임원들의 행태 또한 업계의 비판의 도마위에 오르내린다. 일처리가 잘못돼 책임의 불똥이 떨어질 것 같으면 슬쩍 발을 뺐다가도 공이 돌아올 것 같으면 또 다시 발을 담그는 모사꾼식 행각으로 작금의 약꾸라지 제약농단에 동조해 왔다는 게 업계의 날카로은 지적이다.

제약사 대관 실무부서 한 관계자는 "제약사 입장에서는 어떤 류(?)의 협회장이 부임하느냐에 따라 업무에 상당한 영향을 줄수도 있다고 생각할수도 있겠지만 실무자 입장에서는 차이가 없는게, 이런 약꾸라지 일부 모사꾼들로 인해 업무처리가 더 어려우면 어려웠지 큰 변화가 없는게 사실"이라며 "중간에서 왜곡 변질시킨 탓"이라면서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사실임을 폭로했다.

이는 실무자들이 죽어라 일처리해 놓은 성과를 보고하면 고위 임원들이 이를 꽉 틀어지고 왜곡 시켰왔고 이러다보니 업계 실무 부서의 말못할 고충과 답답함이 분노로 표출인 셈이다.

또한 제약바이오협회 명칭 변경도 의미가 퇴색된지 수년째다.

이와 관련 바이오의약품협회 측은 "명칭 변경에 대해선 불리한 입장"이라는 솔직한 심정을 드러내고 있어 추후 논란이 염려된다.

여기에 원 회장 취임일성으로 대통령 직속 제약바이오 혁신위 설치 제안은 단기간에 이뤄질수 없는 사안이어서 장고에 들어가야할 공산이 크다.

그래서 이 시점에서 원희목호의 강력한 리더십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비지니스 쪽이 아닌 제약산업 쪽으로 바로 잡아 가기엔 그간의 관행들을 혁파해야 하는 강력한 추진력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강력한 요구다.

또한 곳곳 산적돼 있는 폐단도 파헤쳐 쓸어내야 한다.

별도 특단의 대책 필요성도 저변의 혁신 목소리와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그간의 약꾸라지에 농단당한 비정상화를, 눈앞 단물빨아먹기에만 골몰해 온 일부 책임 있는 고위 임원들의 이중적인 책임회피성 행각을 더 이상 두 눈뜨고 바라만 볼수 없다는 업계의 절체절명 절실함의 발로다.

그래서 원희목의 취임 일성이 구호에 그치지 않길 바랄뿐이다.

이런 우려에도 불구, '제약산업은 국민산업'임을 강조하는 등 향후 원희목호의 행보에 큰 변혁을 가져보려는 움직임은 평가 내릴만 하다.

다만 임기초 뭔가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기 위한 섣부른 비젼 제시보다는 뼈깎는 쇄신과 자기희생을 염두에 둔 실천 의지가 전재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원 회장이 간담회에서 '정책 제안에 앞서 잠이 오지 않았다.','필요성이 불분명하다면 그날로 그만두겠다.','모든 것을 던지고 왔고 고작 취직하기 온 것이 아니다.'며 굳건한 신념을 표현했듯 마지막 공직에 혼신의 힘을 쏟아낼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저 일개 약꾸라지, 모사꾼들의 농단에 휘둘림을 당한다거나 주눅들기조차 한다면 눈깜짝할새 모든 게 수포로 돌아가고 만다. 아무리 평가받을만한 정책 제안이라도 손 조차대지 못하고 말이다.

그래서 원희목호의 정책제안이 단기간에 성사되는 일이 아닌만큼 이 또한 장기간 두고 볼 일이다.


한정렬 기자  jrh05@hanmail.net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정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