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의료계/학회
다발성골수종환우회, "치료제 급여 기준 확대" 강력 촉구


"치료제 신속 급여 등재나 실효적 급여기준 확대 등 환우들 체감 정책 부족"


다발성골수종환우회는 9일 다발골수종 치료제의 건강보험급여 기준 확대를 강력 촉구했다.

다발성골수종환우회는 이날 현 정부의 보장성 강화 정책 1주년 맞아 그간의 소회가 담긴 성명서를 내고 "다발골수종 치료제의 급여 확대의 주요한 디딤돌이 되고 있는 위험분담제 등 유연한 보험급여 제도 확대가 신속히 이뤄졌으면 한다"고 향후 신속하고 다양한 보장성 강화 정책을 주문하고 나섰다.

그러면서 환우회 역시 보다 효과적인 다발골수종 치료 환경 구축을 위한 정부의 노력에 보탬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환우회는 "위험분담제 등의 확대는 이미 제도의 안정성과 건강보험 재정중립성이 확인됐기 때문에 비교적 빠른 시간 내 개선이 가능한 문제이며 위험분담제의 확대는 경제적 상황으로 인해 생사의 기로에 서 있는 수많은 환우들의 치료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라며 "더 이상 정부와 사회의 경제적인 논리로 인해 환우들의 치료에 제한이 있어선 안 된다"고 목청을 높였다.

다발골수종과 같은 중증질환의 치료 환경의 경우 '레블리미드’ 사례와 같이 정부의 노력이 환자의 생명권과 직결되기 때문에 정부는 이를 문 케어의 최우선순위에 두고 신속한 제도 개선을 추진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환우회는 "임상적 유효성과 편의성이 뛰어난 경구용 다발골수종 치료제 '레블리미드’등이 4년여의 긴 기다림 끝에 지난 2014년 위험분담제의 시행으로 건강보험에 등재됨으로써 치료제 옵션이 크게 확대됐다"며 "덕분에 다발골수종 환우와 가족들은 정부의 보장성 강화 혜택으로 생명 연장의 치료 혜택뿐 아니라 경제적 파탄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고 정부에 공을 돌렸다.

다만 "문 케어 시행에 대한 높은 기대감과 달리 지난 1년 간 중증질환의 치료제 선택 환경이 크게 개선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보장성 강화의 속도가 더뎌지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 환우와 가족들의 우려가 많다"며 "정부의 발표 이후, 여전히 치료제의 신속 급여 등재나 실효적인 급여기준 확대 등 환우들이 체감하는 정책들은 여전히 부족하기 때문"임을 우려했다.

환우회는 "림프종 다음으로 흔하게 발생하는 혈액암인 다발골수종의 치료 결과가 향후 질환의 진행, 치료 성과 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질환이 진행되고 재발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치료제 옵션이 충분히 마련돼야 한다"며 "앞으로 환자의 획기적인 치료환경 개선을 위해 다양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이 신속히 추진되기"를 강력 주문했다.


한정렬 기자  jrh05@hanmail.net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정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