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의료계/학회
의사 80% "폭력 경험"...가해자, 질환 악화.사망 화풀이 43%-치료결과.진료비 불만 44%-음주상태 65%順

대응법 상대방 진정노력(56%)-경찰신고(48%)-참거나 자리를 피하기(43%)-도움요청(31%)-고소 및 고발(28%)順

80%,‘폭력 행사자 처벌-의료인 보호 조치 강화’요구
폭력 유형, 응답자 중 77% '언어폭력'-23%, '신체적 위협 및 폭력'
병원폭력 후 정신적 피해(97%)가 신체적 피해(84%) 심각

최근 응급실 내 폭력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는 가운데 국내 의사 10명 중 8명이 환자에 의한 병원 내 폭력을 당해 본 경험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폭력 행사자는 음주상태(65%), 치료결과 및 진료비 불만(44%), 환자 질환 악화 또는 사망시 화풀이(43%)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17일 의사 전용 지식·정보공유서비스 ‘인터엠디’ (www.intermd.co.kr/대표 최유환)가 의사 17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병원폭력에 대한 현황조사 결과다.

이에 따르면 국내 의사 10명 중 8명(1,321명)이 환자에 의한 병원폭력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폭력 유형으로 살펴보면, 병원폭력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의사 중 77%가 언어폭력에 노출된 경험이 있었으며, 신체적 위협 및 폭력에 노출된 경우도 23%나 됐다.

10명 중 2명꼴로 신체적인 피해를 당한 셈이다.

병원폭력이 발생하는 원인(복수응답) 으로는 폭력을 행사하는 자의 음주상태가 65%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치료결과 및 진료비에 대한 불만이 44%, 환자의 질환 악화 또는 사망 시 정신적 화풀이가 43% 순으로 지목되었다.

병원폭력 상황이 발생했을 때 대처방법(복수응답)으로는 상대방을 진정시키기 위한 노력이 56%로 가장 많았으며, 나머지는 경찰에 신고하거나 자리를 피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대응 방법으로는 상대방을 진정시키기 위한 노력(56%), 경찰에 신고(48%), 참거나 자리를 피하기(43%), 주변 사람에게 도움요청(31%), 고소 및 고발 등 법적 조치(28%) 순으로 응답했다.

의사들은 병원폭력이 발생하는 경우 정신적 피해도 많다고 호소하고 있다. 병원폭력 상황이 발생하면 정신적 피해(97%)가 신체적 피해(84%)보다 더 심각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봉직의(96%)가 개원의(89%)보다 정신적 피해를 느끼는 경우가 더 많다고 응답했다.

또, 병원폭력 현장 상황을 목격한 환자가 받는 신체적·정신적 피해(51%) 역시 심각하다고 밝혔다.

근본적인 문제는 병원폭력 사태가 발생해도 의사가 보호를 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점이다. ‘병원폭력 근절을 위해 어떤 노력이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까요’라는 질문에 ‘폭력 행사자 처벌 및 의료인 보호 조치 강화’에 답한 응답자는 80%나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인터엠디 회원인 한 의사는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 응급실 및 진료실에서 발생한 의료인에 대한 폭력행위는 중범죄로 간주하고 처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싱턴 주·콜로라도 주 등에서는 의료인 폭행을 가중 처벌하고 있으며, 앨라배마 주·인디애나 주에서는 흉악범죄로 강력히 처벌하고 있다”며“원내 폭력은 당사자와 의료진뿐만 아니라, 다른 환자들의 건강과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고 우려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의사 전용 지식·정보공유서비스 ‘인터엠디’에서 주관하였으며, 국내에 거주하는 총 26개 분야별 전문 의사 1750명이 참여했다.

한편 ㈜인터엠디컴퍼니는 2016년 9월 설립된 모바일/온라인 서비스 기업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중 ‘의사’그룹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NAVER 출신의 대표이사를 비롯하여, CJ, 곰TV, D-CAMP, 제약회사, 병원 출신의 다양한 전문인력들로 구성되어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 ‘의사’ 직업군에게 의미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사전용 지식·정보 공유서비스 인터엠디를 국내에서 제공하고 있다.

한정렬 기자  jrh05@hanmail.net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정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