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약국/약사
"NDMA 쇼크 재발,손쉬운 제네릭 허가-무제한 공동생동-현 약가제 원인"  


본인이 먹는 약, 무엇인지 쉽게 알 수 있게 대책 마련돼야
국제일반명 도입-공동생동 전면 폐지-약가제도 개편-위기대응 기금 조성-상시적 의약품 안정공급 관리 등 대안 제시
약사회, "근본적 제도 개선 후속 조치"강력 촉구

대한약사회(회장 김대업)는 최근 논란이 된 라니티딘 성분 의약품의 발암추정물질 검출과 관련 "NDMA 쇼크 재발, 더 이상 근본적인 제도 개선 미뤄서는 안된다"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국제일반명 도입-공동생동 전면 폐지-약가제도 개편-위기대응 기금 조성-상시적 의약품 안정공급 관리 등 대안 제시했다.

약사회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본인이 먹는 약은 무엇인지 쉽게 알 수 있게 대책 마련돼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약사회는 "약국에서 판매하는 일반약을 제외하고 처방조제로만 국민 144 만명이 복용하고 있는 위장약 라니티딘의 원료약에서 발암물질 NDMA가 검출되면서 온 나라가 또다시 혼란에 빠졌다"며 이번 위기에 대한 정부의 책임있는 대처와 근본적인 제도 개선을 포함한 후속 조치 추진을 강력 촉구했다.

약사회는 "앞서 두 번의 NDMA 사태를 겪으며 정부가 꼭 해야할 일은 불가피하게 일어날 수 있는 혼란이라 할지라도 언제까지나 약국 등 현장의 희생에만 맡길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제도 개선을 통해 성숙한 안전 사회로의 성장을 이루어내자는 취지"임을 말했다.

국내에서 라니티딘은 위장질환 치료제로 처방되는 규모보다 진통제 등 위장 자극이 있을 수 있는 약물 복용에 따른 위장보호제로 보조적으로 처방되는 규모가 훨씬 크다는게 약사회 측 설명이다.

또 이번 조치의 대상이 되는 라니티딘 성분 완제약은 허가된 것이 395품목, 유통 중인 품목은 269품목에 달한다. 라니티딘 오리지널 제품인 잔탁에서 NDMA 검출을 최초 발표한 미국에서는 각각 87품목, 55품목인 것과 크게 대비된다.

우리나라 허가 품목수가 미국에 비해 인구 대비 27배 많고, 제약시장 규모 대비 114배 많은 것이다.

그럼에도 "이번 사태의 여파가 발사르탄 사태에 비해 표면적으로 축소된 것처럼 보일 수 있다면, 문제가 된 의약품이 위장약이라고 하니 다른 질환으로 처방받은 약에도 라니티딘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 국민들이 많기 때문"이라며 "이같은 제네릭 난립 상황은 발사르탄 사태에서 겪었듯 공동생동 무제한 허용 등 우리나라의 저렴하고 손쉬운 제네릭 허가 시스템과 높은 약가 제도에서 기인한다"고 지적했다.

약사회는 "의약품은 시판 과정에서 안전성 문제로 사용중단 또는 회수‧폐기되는 사태는 앞으로도 언제든 반복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국민 혼란을 줄이고 정부가 제공하는 정보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소한 국민들이 본인이 먹는 약이 무엇인지 쉽게 알 수 있도록 근본적인 대책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약사회는 "특허가 만료되면 브랜드 의약품을 포함해 모든 제네릭에 ‘동아 라니티딘’, ‘유한 라니티딘’과 같이 국제일반명을 제품명으로 허가하지 않으면 지금과 같은 상황을 바로 세울 방법이 없다. 이는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과다한 의약품 품목수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공동생동 허용을 전면 폐지하는 인허가 제도 개편과 참조가격제 도입 등 약가제도를 개편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위기 대응 기금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대체약 수급에 어려움이 없도록 상시적으로 의약품 안정공급을 관리해야 한다"며 "차제에 불필요한 의약품 처방 관행에 대해 적정사용을 유도하는 등 정부 차원에서 중장기 제도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희정 기자  y7216@naver.com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희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