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제약
野 "비아플러스 실질 경영에 참여했느냐"Vs 식약처장"참여하지 않았다"



코오롱 인보사, 총 1억2천만 원 짜리 경평 진행...이중 8천만 원 비아플러스 할당
7일 국회 복지위 식약처 감사

▲7일 국회 보건복지위 식약처 감사

제2액에 신장세포가 함유돼 문제가 된 인보사 허가 당시 8천만 원 규모의 경제성평가를 주도한 경평 전문기관 '비아플러스'의 실질 경영자는 현 이의경 식약처장(당시 이의경 성대교수)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돼 논란이 일었다.

대안신당(가칭) 장정숙 의원은 지난 7일 국회 복지위 식약처 감사에서 "지난 7월 복지위 임시회서 '인보사 사건은 국제적인 망신을 당했고 식약처는 후속조치를 잘해야 한다'고 질의했는데 그런데 사건 발생 6개월이 지난 지금도 투여환자의 전체 66%만이 등록돼 있다. 이는 소극적인 대응과 무능을 보여주는 한 사례"라고 포문을 열었다.

장 의원은 앞서 "인사말에서는 국민에 신뢰받는 식약처가 되겠다고 했는데 이 지경인데 어느 국민이 신뢰할수 있느냐"고 날을 세웠다.

장 의원은 "긴급사항이 발생하면 모든 방법을 동원하는 것이 당연지사다. 그런데 인사이동으로 담당 과장과 사무관이 교체됐다. 이런 긴급상황에 내용을 잘 모르는 직원이 담당을 해발빠른 대응은 기대하지 못하지 않느냐"며 "이에 숨은 의도가 있었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의혹 제기했다.

장 의원은 "지난 4월15일 보도자료를 통해 6개월 이내 투여받은 환자에게 검사를 실시하고 이상사례 및 검사 결과를 보고 한다고 했는데, 현재 검사 인원은 0명"이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그러자 이의경 식약처장은 "현재 2명이다. 최근 일산병원서 시작했다"며 맞받았다.

장 의원은 "인보사를 투여받은 환자는 전국적으로 분포돼 있음에도 검진 의뢰한 병원도 건보공단 일산병원을 제외하고는 계약도 못하고 있지 않느냐"고 다그쳤다.

장 의원은 "지난 7월 회의에서 '인보사 사태에 대해 처장도 자유롭지 못하다'고 질의했는데, (동영상을 틀며)아직도 떳떳하고 억울하느냐"고 따져묻고 "본 의원이 살펴본 결과 코오롱 인보사는 총 1억2천만 원 짜리 경제성 평가를 진행했다. 본인이 당시 4천만 원만 수령했다고 했는데 나머지 8천만 원의 행방이 묘연해 처장의 사실관계를 가려내야 하는 점이다. 비아플러스라는 회사를 아느냐"고 강하게 신문했다.

장 의원은 "작년 3월 처장으로 취임했고 배우자와 함께 1600주를 처분했다. 이 회사의 발행 주식는 2천주다. 처장이 매각한 주식은 비아플러스 총 주식의 80%다. 인보사 관련 2세부 과제인 나머지 8천만 원짜리 연구를 실시한 곳이 경평 전문기업 비아플러스였다"며 "처장이 1세부과제 연구만 하고 2세부 과제를 진행하지 않아 무관하다고 볼수 없다. 2세부 과제는 1세부 과제의 부족한 점을 채우기 위해 연구 총 책임자의 결정으로 진행한다. 당시 경평을 의뢰한 연구 총괄 책임자는 누구냐"고 몰아붙였다.

장 의원은 "이 처장이었고 당시 교수였다"고 묻자 이 처장은 "네, 맞다"고 말했다.

그러면 "비아플러스의 실질 경영에 참여했느냐"고 따져 묻자 이 처장은 "경영에는 참여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날 장 의원이 공개한 식약처 인사 이동 현황 자료

장 의원은 "비아플러스 본사는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속했다. 맞느냐, 연구센터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에 있으며 본사는 처장의 친동생이 산학협력단센터장으로 있는 학교다. 연구센터는 처장이 교수로 재직중인 성균관대에 있다. 이래도 실질적인 경영을 하지 않았다고 하느냐"고 거듭 신문했다.

장 의원이 교육부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처장은 등재 논문 총 24건 중 비아플러스 전.현직 대표들과 공동 연구를 한 것이었고 이중 19건이 처장이 교신저자, 제1저자 책임자로 진행한 연구였다.

심평원 약제급여평가위원회에 제출된 경평 보고서에 따르면 저박사 등은 처장과 비아플러스는 같이 경평을 진행했다. 등재 신청을 하지 않은 품목이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장 의원은 압박했다.

이 처장은 "비아플러스는 학생들이 창업한 실험실 위주다. 대학에서 학생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창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저는 교수로서 지원했다. 산업기술대학은 창업 초기 적극 지원한 사례"라며 "논문은 그 대표들이 박사 과정 학생들이었고 7년이상 저와 함께 같이 연구를 했기때문에 그 과정서 나온 논문이지 다른 것은 전혀 없다"고 해명했다.

한정렬 기자  jrh05@hanmail.net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정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