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정책/법률
코로나19로 소득 축소·30대·男· 극단적 선택 생각률 올 12.7%, 2019년 4.6%比 '약 3배↑'



30대·女 우울위험군 비율 16.9%, 코로나 발생전 2019년 3.2%比 약 5배↑
11일 보건복지부 '2022년 2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 발표

2년7개월간 겪고 있는 코로나19로 올 6월 기준 30대,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위험군 비율이 코로나 발생전 2019년 3.2%의 약 5배 더 높은 16.9%로 나타났다.

특히 30대, 남성, 소득이 줄어든 경우 극단적 선택 생각률은 6월 12.7%로 코로나 발생 전 2019년 4.6%에 비해 3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11일 보건복지부의 '2022년 2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2년 6월 조사 결과 우울위험군은 16.9%로, 2019년 3.2%의 5배가 넘는 수치로 여전히 높고 위험한 수준이다. 분기별로는 2020년3월 17.5%, 5월 18.6%, 9월22.1%, 12월 20.0%, 2021년3월 22.8%, 6월 18.1%, 9월 18.5%, 12월 18.9%, 2022년 3월 18.5%, 6월 16.9% 등이다.

연령별로는 지속적으로 3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6월 조사 결과 30대가 24.2%로 가장 높고, 40대(17.0%), 50대(16.0%), 20대(14.3%), 60대(13.0%)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이 18.6%로 남성(15.3%) 보다 3.3% 더 높았다.

소득수준별로는 소득이 감소한 경우의 우울위험군이 22.1%로 소득이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는 집단(11.5%)에 비해 2배 가까이 높게 나타나, 경제적인 문제와 정신건강과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가구형태 등별로는 1인 가구의 우울위험군이 23.3%로 2인 이상으로 이루어진 가구(15.6%)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상태별로는 배우자가 없는 경우(미혼, 사별‧이혼 등)가 20.6%로 기혼(14.3%)에 비해 높았다.

극단적 선택 생각률에 따르면 다른 정신건강지표와 달리 극단적 선택 생각률은 2022년 6월 12.7%로 3월(11.5%)에 비해 증가했으며,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3월 9.7%에 비해 여전히 높고,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4.6%과 비교해도 3배 가까이 높은 수준이다. 분기별로는 2020년 3월 9.7%, 5월 10.1%, 9월 13.8%, 12월 13.4%, 2021년3월 16.3%, 6월 12.4%, 9월 13.8%, 12월 13.6%, 2022년3월 11.5%, 6월 12.7% 등이다.

연령별로는 30대가 18.8%로 가장 높았으며, 20대(14.8%), 40대(13.1%),50대(9.8%),60대(7.3%)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이 13.5%로 여성(11.9%) 보다 더 높았다. 일반적으로 극단적 선택 생각률은 여성이 높은데 비해 동 조사에서는 꾸준히 남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소득별로는 소득이 감소한 경우의 극단적 선택 생각률이 16.1%로 소득이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는 집단 9.2%에 비해 약 7% 가량 높게 나타났다.

가구형태 등별로는 1인 가구의 극단적 선택 생각률이 18.2%로 2인 이상으로 이루어진 가구(11.6%)에 비해 1.5배 높았으며, 결혼상태별로는 배우자가 없는 경우(미혼, 사별‧이혼 등)가 16.9%로 기혼(9.8%)에 비해 높았다.

반면 코로나19 장기화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두려움 및 불안에 대한 수치는 감소 추세를 유지 중이며, 2022년 6월 조사결과는 코로나 기간 실시한 조사 중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 코로나19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내는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낙인’도 2022년 6월 조사결과 6.2점(총 15점)으로 지난해 3월(8.1점)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분기별로는 2021년3월 '8.1점'→6월 '7.6점'→9월 '7.3점'→12월 '7.7점'→2022년3월 '6.6점'→6월 6.2점 등이다.

또한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는 12.0%에 불과하며, 이용의사 비율(60.2%)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 방해정도(0~10점)는 4.4점으로, 지난 3월(5.1점)에 비해 줄었다. 필요서비스는 경제적 지원이 2.05점으로 가장 높았고, 감염병 관련 정보(1.94점), 개인 위생물품(1.89점)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는 전국 거주 19~71세 2063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두려움, 우울, 극단적 선택 생각, 일상생활 방해 정도, 심리적 지지 제공자, 필요한 서비즈 등 총 16개 항목에 대해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협회가 분기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났다.

실태조사 책임 연구자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현진희 교수는 "두려움, 불안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적절히 감소하고 있지만 우울의 감소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국민들의 우울감 감소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며 "코로나19 기간 누적된 소득 감소, 고립 등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정신건강이 더 악화되거나 자살이 증가할 우려에 대비해 경제적‧사회적으로 취약한 계층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보건복지부 정은영 정신건강정책관은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처음 실시한 조사에서 우울, 불안 등 전반적인 정신건강 지표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난 것은 의미있는 일이지만 다른 한편 자살생각률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크게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코로나19 기간 동안 누적된 경제, 정신, 신체 건강문제가 일상회복시기 자살 위기로 분출될 가능성에 대비하고 국민 누구나 도움이 필요할 때 정신건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홍보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인선 기자  dailymedipharmn@gmail.com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인선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