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제약
베링거인겔하임-릴리, "자디앙, 고령 환자서 근육량 저하 없이 혈당 관리 효과 확인"

日노인 2형당뇨병환자 대상 EMPA-ELDERLY 연구 통해 근육량 감소 없이 혈당 조절 효과 확인
이상반응 발생률 위약과 차이 없어…당뇨성 케톤산증, 근력 약화 등 관찰되지 않아

베링거인겔하임과 일라이 릴리는 '자디앙(엠파글리플로진)'이 2형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65세 이상의 일본 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평균 연령 74.1세) 혈당 조절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한 EMPA-ELDERLY 임상연구에서 근육량이나 근력 저하 없이 혈당 조절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결과는 지난 8월 25일 '당뇨, 비만, 그리고 대사(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DOM)'에 게재되었다.

EMPA-ELDERLY는 일본에서 진행된 연구로, BMI 22kg/m2 이상, 당화혈색소(HbA1c) 7.0%-10.0%인 65세 이상 2형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자디앙은 52주차에 당화혈색소가 위약 대비 0.57% 감소했으며, 이러한 혈당 감소 효과는 연령, 성별, eGFR 또는 BMI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목표 당화혈색소 도달률의 경우, 자디앙은 54.7%(35명)에 달한 반면, 위약은 22.2%(14명)에 그쳤다.

지속 제기되고 있는 SGLT2억제제의 근감소증 위험 증가에 있어서도 근육량 감소 없이 혈당 및 체중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52주차에 체중 변화는 자디앙 -3.27kg, 위약 0.90kg으로 자디앙은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체중 감소를 확인했다. 그러나, 근육량과 제지방량 변화에서는 자디앙과 위약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자디앙정은 2형 당뇨병환자의 체중 감소 목적으로 국내에서 허가 받지 않았다.

이상반응 발생률은 자디앙과 위약 두 그룹 간에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당뇨성 케톤산증, 확인된 저혈당증(confirmed hypoglycaemia), 근력 저하와 같은 유의해야 할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 의학부 총괄 신소영 부사장은 “노인 2형당뇨병환자에서 SGLT2억제제 사용에 대한 여러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자디앙은 이번 EMPA-ELDERLY 연구를 통해 고연령의 2형당뇨병환자에서 혈당을 관리할 수 있는 치료 옵션임을 보여주었다“며, “특히, 해당 연구가 한국인과 유사한 프로파일을 가진 일본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만큼, 임상 현장에서 고령 환자의 치료 전략 수립 시 도움이 되는 근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자디앙은 현재 혈당이 충분히 조절되지 않는 성인 2형당뇨병환자 및 심박출률에 관계없이 만성심부전환자의 치료제로 식약처로부터 승인받았다. 또한 최근 EU에서는 성인 2형당뇨병과 만성심부전에 이어 만성콩팥병 치료제로 승인되어 심장-신장-대사 질환 통합 관리를 위한 치료제로 거듭나고 있다.

한정렬 기자  jrh05@hanmail.net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정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