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약국/약사
장애인, 의약품 사용 정보접근성 강화-복약순응도↑..."맞춤형 안전사용 방안 확대돼야" 

국내 식약처 제공 온라인의약도서관 등 접근성 매우 ‘미흡'
올초 도입 PharmIT3000, 의약품정보DB와 연동해 복약·의약품 정보 음성 제공

美, 오디오 디지털 라벨 처방약 용기에 부착...약사, 적당한 속도와 크기로 환자에 설명
점자라벨-입체감 있는 에폭시 스티커 뚜껑에 부착...복용 횟수 표시
시각장애환자 대상 美대표적 'Ask Me 3 운동'
英,지적장애인 대상 약물 사용 온라인 약사 연수 교육-가정방문 약물 검토서비스 제공

장애인의 의약품 사용 정보 접근성 강화와 복약순응도를 높이기 위해선 맞춤형 의약품 안전사용 방안이 확대 적용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20일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지난해 조사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국, 영국 등 주요 외국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의약품 안전사용을 위한 정보 접근성 및 약물 복용 편의성을 높여주는 실질적이고 선제적인 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식약처 주관으로 대한약사회 약바로쓰기운동본부에서 진행 중인 약 바르게 알기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먼저 미국의 경우, 2012년 오바마 대통령이 시각장애가 있거나 고령 환자들을 위해 전문약 용기에 부착할 수 있는 라벨 개발을 법으로 의무화했고 이에 개발된 오디오 디지털 라벨이 약사에 의해 처방약 용기에 부착돼 적당한 속도와 크기로 해당 의약품을 환자에게 설명해준다. 경증 시각장애인들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프린트 글자 크기를 키우거나, 복용 시간에 따라 다른 색깔의 용기를 사용하고, 점자라벨 및 입체감 있는 에폭시 스티커를 뚜껑에 부착하여 복용 횟수를 표시해 주기도 한다.

시각장애환자를 대상으로 한 미국의 대표적인 'Ask Me 3 운동'은 환자 자신이 의료서비스제공자에게 ▶나의 주요 증상이 무엇인지,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왜 이것이 중요한지에 대한 3가지 질문을 함으로써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이해를 돕고, 약물 복용에 주체적인 태도를 취함으로써 더 나은 건강결과를 만드는데 기여한다.

또 손의 움직임이 불편하거나 힘이 약한 지체장애인들의 경우에는 환자의 복약순응도를 높여주는 개봉하기 쉬운 용기, 정제.캡슐제 포장제거기 및 절단기, 점안 보조도구 등의 보조 장치들을 판매하거나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에도 일반인보다 처방약 복용률이 높은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약물 안전성과 적정성에 대한 검토를 중요한 약사의 역할로 보고 가정방문 약물 검토서비스 제공은 물론 지적장애인 대상 약물 사용 교육을 위한 온라인 약사연수 교육을 함께 진행하고 있다.

국내도 PharmIT3000을 통해 약국에서 조제약 봉투에 보이스아이코드를 인쇄하고, 이를 스캔하면 약 봉투에 인쇄된 정보가 스마트폰으로 바로 전송되고 약학정보원의 의약품정보DB와 연동해 복약정보 및 의약품 정보를 음성정보로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올 초 도입된 바 있다. 하지만 식약처가 제공하는 온라인의약도서관 등이 접근성이 매우 ‘미흡’한 것으로 평가됐던 것처럼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모바일 앱 접근성이 확보된 이후에나 이러한 장애인 대상 복약지도 서비스의 활용도에 대한 예측이 가능할 전망이다.

현재 전국의 장애인 등록 수는 약 260만 명으로 전체 인구수 대비 약 5%이며, 이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미국 12.7%, 영국 21.0%, 프랑스 25.4% 등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국가별 장애인 출현율은 장애인에 대한 정의 및 문화적 차이, 판정에 있어 장애인정범위와 연령 등 상세조건이 상이하므로 일괄적인 비교가 어렵지만 현실에서 더 많은 장애인 환자들이 의약품 안전사용을 위한 정보 파악 및 약물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수 있다.

이에 의약품정책연 정승연 선임연구원은 “‘K-방역’ 으로 의료선진국으로 자리매김한 우리나라도 건강취약계층인 장애인의 의약품 사용 정보 접근성을 강화하고 복약순응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다양한 법적·제도적 장치들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장애 유형별로 서로 다른 욕구와 환경을 반영해 장애인 건강권과 의료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기반의 확대가 우선돼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인선 기자  eipodo@naver.com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인선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