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의료계/학회
"당뇨환자 개별맞춤형 교육상담료 급여화 주장"한목소리...복지부 "전향적 검토"시사
'당뇨병 교육=치료행위'..."당뇨 환자 운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과정"
정통령 복지부 과장 "교육상담료 급여화 전향적으로 검토 중"
'2016년 세계당뇨의 날 기념 국회토론회'개최


30세 이상 500만명 당뇨환자의 효율적인 집중 관리를 위해 정확한 질환 정보 전달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를 위해 개별화된 맞춤형 교육상담료 급여화 등 교육수가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복지부는 당뇨 교육상담료 급여화에 대해 전향적으로 검토중임을 밝혔다.

▲김대중 당뇨병학회 홍보이사
14일 국회의원회관서 양승조 의원, 대한당뇨병학회, 한국소아당뇨인협회, 한국당뇨협회 공동 주최로 연 '2016년 세계당뇨의 날 기념 국회토론회'에서 대한당뇨병학회 김대중 홍보이사(아주대병원 내분비내과)는 '당뇨병 관리 실태 및 의료비 부담'이란 발제를 통해 "간호사, 영양사 등을 통한 우리나라 당뇨 교육 경험은 20%도 채 안되는 반면 미국은 57.4%나 된다"면서 "우리가 갈 길이 멀다는 것이다. 강조하는 것은 합병증이 생기면 천문학적인 진료비가 는다. 따라서 예방에 나서야 한다"며 "그래서 교육을 잘 받으면 어떤 이점이 생기느냐. 영양교육을 체계적으로 받으면 진료비가 줄어든다"고 주장했다.

김 이사는 "교육이라는 것은 약물보다 중요한 치료행위"라며 "당뇨병은 예방이 최선이지만 발병후 신장, 신경, 혈당, 콜레스테롤 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특히 교육이 얼마나 잘 돼 있느냐, 환자에게 얼마나 정확한 정보를 잘 전달해 주고 있느냐에 달려 있다"면서 "환자에게 감성적인, 정신적인 모든 지지 요법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당뇨관리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전 과정중에 교육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당뇨 대표적인 합병증으로 신장 합병증이 30%나 되며 투석하는 환자가 3만2천여명이 된다"며 "눈의 합병증도 20%에 달하며 신경합병증도 30%이상 넘게 나타났다. 사망원인 중에 6위(3.8%)를 차지하는 게 당뇨병"이라고 우려했다.

또 "1만명이 당뇨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당뇨병은 심혈관질환이 굉장히 생긴다. 비당뇨인에 비해 5배 높아 관리가 우선돼야 한다"며 "혈당뿐아니라 혈압, 콜레스테롤 관리를 해야 된다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14일 국회의원 회관에서 열린 '세계당뇨병의날 국회 정책토론회..
김 이사는 "당뇨 사망이유는 암 사망이 29%이며 나머지가 심혈관질환이며 당뇨 자체 사망이 오히려 암사망자보다 더 많을 정도여서 일반인보다 다른 당뇨 관리에 노력해야 하는 부분"이라며 "이때문에 2012년 자료를 보면 전체 사회경제적 비용을 따졌을때 2조7천억원이 당뇨치료비용이 차지한다고 돼 있다"면서 "이게 급격히 증가해 당뇨진료비만 무려 1조8천억원이나 된다. 사회경제적 비용은 진료비 뿐아니라 간접 비용을 포함한 것이어서 비용이 2조7천억원이 아니고 3~4조 될지 알수가 없다"고 꼬집었다.

그래서 "당뇨 관리를 하다보면 저혈당으로 응급실에 실려오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이게 해마다 계속 늘어나고 있다"며 "이를 어떻게 예방하느냐인데, 평소 어떻게 교육하느냐에 달려 있다. 이를 통해 진료비를 절감하고 환자 자체도 건강을 유지해 나가는 것"이라며 "한 번 저혈당으로 응급실에 오면 뇌가 파괴가 일어난다고 하고 이는 결국 치매가 되는 위험으로 발전할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한림대병원 류옥현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당뇨병 환자교육 상담 접근성 제고'란 발제에서 "당뇨 환자의 경우 운동 식사요법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고 있는 사람도 있고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다"며 "당뇨병을 왜 관리를 해야 되는지, 관리하는 방법은 어떤 것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의료진은 시간이 없는게 문제다. 교육을 해도 전혀 보상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면서 "그리고 전문적인 식사, 운동요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 이런 부분이 개선되지 않고서는 우리나라 당뇨병 관리 현황이 개선되는 것은 요원하다"고 지적했다.

▲한림대병원 류옥현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류 교수는 "그러면 이런 장벽을 어떻게 극복할수 있느냐,국가의 제도적 지원이 없이는 극복하기 어려운 현실"이라며 "국가에서는 인슐인 주사 처방 환자를 대상으로 재료 지원 사업을 하고 있는데 호응이 높다. 이것에 더해서 환자들이 교육을 받을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이를 의해 교육상담료를 급여화해서 그런 장벽을 낮춰야 하고 의료진들도 적극적으로 교육을 시켜서 운동, 식사요법을 할수 있게 환경 조성을 위한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다"고 목청을 높였다.

류 교수는 "개인의원은 홀로 교육은 어려운 부분이라며 반드시 지원이 필요하다"며 "당뇨병은 환자가 주최이며 의료진들은 환자를 잘 교육시켜 똑똑한 환자를 만들어야 한다. 국가는 의료진가 환자가 혈당관리를 잘할수 있게 제도적 뒷받침을 해 줘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 정통령 보험급여 과장은 "당뇨 상담에 대한 급여화 방향에 대해 공감을 한다. 외국의 경우 만성질환에 대한 급여화 하는 나라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2003년도 고혈압, 암 등 7개질환에 대해서 교육상담료를 비급여로 인정할수 있게 우선 제도화하 바 있다. 2011년 4개 질환(고지혈증)이 추가됐다. 처음으로 교육상담을 급여화한 것이 4대 중중질환 보장성 강화 정책 일환으로 작년 10월에 암에 대해 교육상담료를 신설했다"면서 "올해 11월에 건정심의 심의를 거쳐 시행전인 신장질환, 만성신부전, 장류, 요로에 대한 교육상담료를 신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 과장은 "정부 입장은 만성질환은 병원 상담 진료보다는 일상생활의 자가 관리를 하는 시간이 많고 할애하기 위한 교육에 대해 점점 급여화 해 나가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며 "낮은 기본 진찰료의 낮은 수가로 인해 진료를 하면서 교육에 소홀히 해 왔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는 작업들을 통해 곧 논의에 착수할 것"이라면서 "교육상담료 부분, 환자 평가, 진료 계획 수립에 대해선 수가 신설을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정렬  dailymedipharm@gmail.com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