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정책/법률
건보공단, 5년간 운동성 '틱' 등 투렛증후군 연평균 5.9%↑ 



2016년 1897명→2020년 2388 명 491명 늘어
9세이하 어린이 안전사고 연평균 6.6%↓
중독 –19.0%(1860명), 압궤/절단 –18.9%(1528명), 골절/탈구 –18.1% (4만282명), 외상성뇌손상 –11.4%(273명) 순

최근 5년간 9세이하 어린이의 안전사고는 연평균 6.6% 감소한 반면 운동성 '틱' 등 투렛증후군은 연평균 5.9% 증가해 대조를 보였다.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6년~2020년 0세~9세 어린이 안전사고와 투렛증후군 진료현황에 따르면 어린이 안전사고 진료인원은 2016년 42만 7천 명에서 2020년 32만 4천 명으로 10만 2천 명 감소했으며 연평균 감소율은 6.6%로 나타났다.

어린이 안전사고는 골절/탈구 56.2%(18만 2천 명), 이물질 19.7%(6만 4천 명), 화상/부식 19.0%(6만 2천 명), 중독 2.5%(8천 명), 압궤/절단 2.0%(6천 명), 외상성뇌손상 0.7%(2천 명) 순으로 발생했다.

반면, 어린이 투렛증후군 진료인원은 2016년 1897명에서 2020년 2388 명으로 491명 늘었고, 연평균 증가율은 5.9%로 나타났다.

어린이 안전사고의 증감추이를 살펴보면, 2016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였으며, 특히 전년대비 15.2%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손상기전별로는 중독 –19.0%(1860명), 압궤/절단 –18.9%(1528명), 골절/탈구 –18.1% (4만282명), 외상성뇌손상 –11.4%(273명) 순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2020년 9세이하 어린이의 투렛증후군 진료인원은 2016년 1897명 대비 25.9% 증가한 2388명으로 남자가 1842명(77.1%), 여자가 546명(22.9%)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진료인원은 경기도 791명, 서울 444명, 부산 178명, 충남 138명, 인천 134명 순이었으며 시도별 0~9세 적용인구 수 대비 비중은 충남(0.08%), 부산(0.08%), 서울(0.07%), 경기(0.07%), 광주(0.0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안전사고(손상)은 6개 주요 손상기전으로 분류 외상성뇌손상, 골절/탈구, 화상/부식, 중독, 압궤/절단, 이물질이며 투렛증후군은 특별한 이유 없이 자신도 모르게 얼굴이나 목 어깨, 몸통 등의 신체 일부분을 아주 빠르게 반복적으로 움직이거나 이상한 소리를 내는 것을 말하며 ‘틱장애’라고도 한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안재은 교수는 "투렛증후군은 유전적 요인의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투렛증후군을 진단 받은 환아의 직계 가족에서의 틱의 유병율은 25%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53~56%, 이란성 쌍둥이에서는 8% 정도의 일치율을 보인다"며 "하지만, 유전적 요인에 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 또한 투렛증후군의 발생 및 증상 변화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임신 및 주산기적 문제, 자가 면역 기전을 비롯한 면역학적 요인, 스트레스, 호르몬의 이상 등의 관련이 있다는 보고들이 있고, 이에 더해 뇌의 피질-선조체-시상-피질 회로의 기능 이상이 투렛증후군과 관련되어 있다는 주장 또한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투렛증후군은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여러 가지 운동성 틱과 함께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음성 틱이 나타나는 경우 진단한다. 틱은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갑작스럽고 빠르게 반복되는 비율동적인 동작이나 음성 증상을 의미한다"며 "운동 틱은 몸의 모든 수의 근육에서 일어날 수 있는데 보통 처음에는 눈을 깜박임, 코 씰룩임, 얼굴 찡그림 등의 증상을 보이기 시작하며 얼굴에서부터 증상이 시작된다. 이후에는 점차 목, 어깨, 팔, 몸통, 등, 다리 등으로 점차 아래쪽으로 증상이 진행해나가면서 고개를 갑자기 젖히기, 어깨 들썩임, 배 근육에 갑자기 힘주기, 다리 차기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되며 이에 더해 기침 소리, 코를 킁킁 거리는 소리, 목을 긁는 소리, 동물의 울음소리, 욕설, 외설 증 등의 음성틱이 나타나기도 한다"고 밝혔다.

이어 "투렛증후군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면 일차적으로는, 환아와 가족들에게 틱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틱의 원인, 증상의 본질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교정하고, 틱의 임상 경과에 대해 교육해 투렛 증후군에 대한 불필요한 불안감을 줄이고 가족간의 비난, 책임 회피를 줄이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며 "투렛증후군의 주요 치료 방법으로 약물 치료, 습관 역전 훈련, 반응 방지 훈련 등 행동 치료 등이 있다"고 말했다.

한정렬 기자  jrh05@hanmail.net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정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