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정책/법률
野, 쉽게 바른 공공언어 쓰기 평가서 '식약처 7위-질병청 33위-보건복지부 37위' 하위권

쉽고 바른 한글쓰기가 돈 된다
개선 대상 공공언어 용어...2394개
어려운 공공언어 개선으로 인한 공익적 가치...3375억원
인재근, “공공언어에 외국어를 남용하면 그 불편은 국민에게 돌아가기 마련이고 경제적 손실도 크다”

올해는 한글 창제 577돌이 되는 해다.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날이지만, 오늘날 한글은 넘쳐나는 외래어로 위기를 맞고 있다.

각종 미디어와 SNS 등에서 외국어의 남용과 오용, 축약과 변형 등으로 사회 전반적으로 언어 환경이 지나칠 정도로 외국어화 돼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는 공공언어 용어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인재근 더민주당 의원(보건복지위원회)이 문화체육관광부로 제출받은 ‘2022년 개선 대상 공공언어 용어’는 2394개이다. 2021년 2351개와 비교해 43개 늘었다. 2022년 추가된 개선 대상 공공 언어 용어는 “ESG경영(환경사회투명경영)”, “그루밍성범죄(환심형 성범죄)”, “도어스테핑(출근길 문답)”등이다.

정부는 쉽고 바른 공공언어 쓰기 일환으로 부·처·청·위원회를 대상으로 매년 공공언어 쓰기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2022년 45개 중앙행정기관 대상으로 평가한 순위는 1위 문화체육관광부, 2위 법제처, 3위 교육부다. 보건복지위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7위, 질병관리청과 보건복지부는 각각 33위, 37위로 하위권으로 평가됐다.

각 공공기관은 '국어기본법'에 따라 국어의 발전 및 보전을 위한 업무를 총괄하도록 소속 직원중에서 “국어책임관”을 의무적으로 지정해야 한다. 이렇게 각급 기관에 지정된 국어책임관들은 공공 부문에서의 국어 오용과 잘못된 표현의 남용을 막고 올바른 국어 환경을 조성하고자 보도자료, 보고서, 기관장 축사·인터뷰 등을 감수하는 활동을 수행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어책임관이 2022년 한 해 동안 보도자료 등 감수한 실적은 1224건이다.

쉽고 바른 공공언어의 사용은 정부와 국민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국민들이 어려운 정책용어를 이해하지 못해 발생하는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사)국어문화원연합회이 현대경제연구원에 의뢰한 '2021년 공공언어 개선의 정책효과 조사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어려운 공공언어 개선의 ‘공익적 가치’를 화폐 단위로 추정한 결과, 연간 3375억원의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연구 분석이 나왔다.

인 의원은 “공공언어에 외국어를 남용한다면 그 불편은 공공기관의 서비스를 받는 국민에게 돌아가기 마련이고 경제적 손실도 크다”며 “공공기관은 정책 또는 업무를 효과적으로 국민에게 알리기 위해 알기 쉬운 용어를 개발보급하고 정확한 문장을 사용하도록 장려해야 한다. 특히 대민서비스 비중이 큰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은 더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정렬 기자  jrh05@hanmail.net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정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