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신생아 지역정책수가 신설
필수의료 분야 보상 강화-소아환자 본인부담 경감 유지
조규홍 본부장, "의료계는 조건없이, 형식에 구애받지 말고 대화에 임해달라”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은 29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보건복지부장관) 제24차 회의를 조규홍 본부장 주재로 개최하고 건정심에서 의결된 ‘소아진료체계 개선 관련 필수의료 보상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밖에 ▶비상진료체계 운영현황, ▶의사 집단행동 현황 등을 점검하고 ▶소아 필수의료 수가 개선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정부는 의료개혁 4대 과제로서 ‘보상체계 공정성 제고’를 위해 2028년까지 10조원 이상의 건강보험 재정을 투자하기로 했다. 특히, 소아 필수의료 보상 강화는 지난해부터 본격 추진 중으로 5년 간 1조 3000억 원(2024년부터 연간 2600억 원) 규모의 수가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이어 소아 고위험·고난이도 수술의 연령 가산을 대폭 개선하고, 고위험신생아 진료 지역정책수가가 신설·지원된다.
우선 수술의 난이도와 위험도를 반영해 6세 미만 소아에 대한 고난이도 수술 281개 항목의 수술·처치료와 마취료에 대한 연령 가산이 대폭 확대된다.
현재 고난이도 수술(281개 항목) 시 1500g 미만 신생아와 1세 미만 소아에 대해서만 별도로 높게 적용 중인 연령 가산을 6세 미만 소아까지 확대하고, 가산 수준도 최대 300%에서 1000%로 대폭 인상된다.
현재는 1세 이상~6세 미만 소아는 고난이도 수술에 대한 별도 가산 없이 전체 수술·처치 및 마취에 연령 가산(30%~50%) 적용 중에 있다.
이는 대통령께서 작년 2월 22일 서울대어린이병원, 지난 3월 18일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을 방문해 건의사항을 청취하고, 중증소아 보상을 대폭 강화하라고 당부한 지시사항을 이행한 것이다.
또 전문인력 확보와 유지가 어려운 지방 의료여건을 개선하고 고위험 신생아가 지방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안전하게 진료받을 수 있도록 지역 차등화된 공공정책수가가 신설된다.
복지부는 2024년 3월 기준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로 지정된 전국 51개소(서울 제외) 신생아중환자실에 대해서는 경기·인천의 경우 입원환자 당 일별 5만원, 그 외 지방에는 입원환자 당 일별 10만원의 지역별 차등 수가를 지원할 계획이다.
소아 중증수술 연령가산 인상 및 고위험신생아 진료 지역수가는 오는 5월부터 시행 예정이며, 연간 약 670억 원의 건강보험 재정이 신규 투입된다.
이를 통해 지역간 필수의료 격차가 해소되고 중증소아가 전국 어디서나 안전하게 진료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8일 수도권 5대 병원 입원 환자수 지난주 평균대비 3.4%↑ '4936명'
3월 28일 수도권 주요 5대 병원 입원 환자는 지난주 평균 대비 3.4% 증가한 4936명이며, 기타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는 지난주 평균 대비 5.8% 증가한 1만8027명이다.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입원환자는 2893명으로 지난주 평균과 유사하다.
27일 기준 상급종합병원의 수술은 2530건으로 지난 주 평균 대비 4.8% 증가했고 응급의료기관은 전체 408개소 중 97%인 394개소가 병상 축소 없이 운영되고 있다.
다만 의료진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상급종합병원에서 수술 연기 등으로 환자 불안감이 커지고 있어, 정부는 현장의 상황과 의료기관의 배후진료 역량 변화 등을 모니터링하며,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비상진료체계를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수도권·충청권 등 4개 권역에 '긴급대응 응급의료상황실' 운영
중수본은 2월28일 '비상진료 보완대책' 발표이후 한 달 간 운영상황을 점검했다.
먼저, 응급환자의 신속한 이송을 위해 3월 4일부터 수도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4개 권역에 '긴급대응 응급의료상황실' 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약 2백여명의 응급환자를 적정 의료기관으로 연계했다.
3월 15일부터는 응급실 과밀화 방지를 위한 '경증환자 분산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전국 43개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약 3천3백여명의 경증·비응급환자를 인근 의료기관으로 안내했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간 신속한 환자 전원과 협력·진료 체계도 강화하였다. 3월 19일 종합병원 100개소를 ‘진료협력병원’으로 지정했고, 오늘부터 종합병원 50개소를 추가해 총 150개소로 확대한다.
의료현장 대체인력 지원을 위해 3월 11일과 3월 21일, 3월 25일, 3차례에 걸쳐 총 413명의 공중보건의사와 군의관을 의료기관에 파견했으며 2월 27일부터 '간호사 업무범위 관련 시범사업'을 실시해 현재 상급종합병원, 87개 비상진료 공공의료기관에서 약 5천명의 진료지원 간호사가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비상진료체계는 ▶중증, 응급환자의 진료 공백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의료전달체계 강화, ▶전공의에 대한 의존도 완화 등 의료체계 정상화 작업이기도 하다.
3월 28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는 현행의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할 필요성 등을 고려, 月1882억원 규모의 ‘비상진료 체계 건강보험 지원’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조규홍 본부장은 “고난도 수술이 필요한 중증 소아환자가 언제 어디서든 안심하고 진료받을 수 있도록 공정한 보상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정부는 중증, 응급환자의 진료 공백 최소화를 위해 비상진료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의료계와의 소통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의료계는 조건없이, 형식에 구애받지 말고 대화에 임해달라”고 전했다.
이인선 기자 dailymedipharmn@gmail.com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