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한방
백유상 교수,"한의학에 기능·구조융합 인체관 존재했다"
대한제국,한의학 계승 인정...일제강점기 상호보완 틀 사라져
한의계 의학강습소서 인체구조 지식 등 한의학 활용 모색
한의사협, 14일 한림원서 기획세미나 열어

백유상 경희대 한의과대학 교수는 "한의학에는 오래전부터 기능과 구조가 융합된 인체관 또는 신체관을 가지고 있었고 현대까지 이런 특성을 기본적으로 유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백유상 교수는 지난 14일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서 한의사협회가 연 '해부학에 기반한 한의학의 발전'이란 기획 세미나서에서 "우리나라 한의학에서 인체 구조에 대한 한의사 및 실학자들의 인식과 조선말기 서양으로부터 들어온 해부 지식들의 수용 등 고대로부터 근·현대까지 한의학 속의 해부학에 대해 고찰해 왔다"며 "따라서 한의학은 오래전부터 기능과 구조가 융합된 인체관을 보유하고 있고 이런 특성을 기본적으로 유지하고 있다"면서 "구조적으로 몸의 각 부분별 형태뿐만 아니라 길이, 크기, 용량 등에 대한 정보를 축적해 온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근세 이후 서양의학이 유입과 영향으로 인해 한의학의 신체관이 단지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기능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는 편협한 시각이 형성됐다"며 "이로 인해 한의학의 고유한 신체관이 왜곡됐고 질병을 통합적으로 진단, 예방, 치료하는 한의학의 많은 장점들이 드러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그간의 오해를 불식시켰다.

사례로 조선을 계승한 대한제국의 경우 전통적인 한의학을 그대로 계승, 인정하고 서양의학을 보완하는 것으로 의료정책을 수립했으나 갑작스런 일제 강점이 이뤄짐으로 인해 이런 상호 보완적인 틀이 사라집게 됐다는 것이다.
▲14일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서 한의사협회가 연 기획세미나서 백유상 교수가 '한의학속 해부학'이란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백 교수는 "그럼에도 고종의 지원에 의한 동제의학교 이후 동의학강습소의 교육과정에서도 이미 해부생리학이 교육됐다"며 "이후 일제 강점에 의해 한의학이 스스로 강점을 살리고 새로운 의료 환경에 대처해 나갈수 있는 기회가 박탈됐다. 서양의학의 새로운 진단 및 치료 기술들을 수용하고 활용하는데에서 배제됐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런 한계점에도 당시 한의계에서는 의학강습소 등을 통해 끊임없이 한의학을 현대적으로 활용할수 있는 길을 모색했고 이런 노력들이 여러 강습소의 교육과 잡지 간행으로 이어졌고 그 가운데 인체구조 관련 지식과 활용이 포함됐다"고 밝혔다.

백 교수는 "한의사제도 탄생이후 본격적으로 의학교육이 이뤄지고 6년제 교육기관으로 승격되면서 인체구조 관련 과목이 대폭 늘어나게 됐고 교육의 질도 계속 높어졌다"며 "이 가운데 한의학이 구조 기능 융합적 신체관에 대해 한의학의 과학화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안타까움을 표했다.

그는 "이런 논쟁은 일제강점기 조선 총독부의 한의학 제한 정책에서부터 시작돼 해방후 1951년 국민의료법이 통과될때 의료법 개정 및 한의학 현대화 과정에서도 이뤄졌다"며 "한의계는 이런 환경변화에 대처하면서 현대에 맞게 인체 구조 관련 교육과 연구들이 진행됐고 지난 2006년 전국 한의학대학 교육목표 개정의 작업에서 해부학 관련 교육목표가 설정됐다"고 최근 흐름을 밝혔다.

백 교수는 "이런 인체 구조에 대한 지식 습득코자 했던 한의학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에 근·현대 격동기속에서도 해부학을 교육하고 연구하면서 한의학과 접목시키려 노력해 왔다"며 "그결과는 한의학의 오랜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면서 "기능중심 인체관이 한의학의 인체관이란 시각은 실제 해부 지식 축적에 대한 역사적 사실들을 충분히 검토하지 못한데서 온 단견"임을 일갈했다.

한정렬  dailymedipharm@gmail.com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