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기획특집 기획특집
"2006~08년 가습기살균제 피해 당시 소아청소년과 의료진 골든타임 놓쳐"
2012년 피해자들 민사소 당시 왜곡된 자료로 판사 합의 독려 "판사도 당해"
최예용 소장 "피해신고자외 나머지 피해자들 찾는게 이번 참사 본질"
14일 더민주당·의협 공동 주최 '생활용품 건강한 사용과 정부의 역할'국회토론회


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은 14일 국회의원회관서 열린 대한의사협회와 공동 주최한 '생활용품 건강한 사용과 정부의 역할'이란 국회토론회에서 현재 신고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외에 나머지 피해자 찾기에 나서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또 2006~2008년 당시 골든타임을 놓친 소아청소년과 의료진과 2012년 피해자들이 제기한 민사소송에서 판사도 당했다고 분노를 삼키지 못했다.

그는 "추산에 의하면 약 3천만 명, 많게는 200만 명이 넘는 사람이 고농도 노출 또는 가습기살균제로 인한 건강 피해자들인데 지금 신고된 자 1800여 명의 1%도 안된다는 얘기라며 나머지 99%를 찾아내는 게 이번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본질"이라고 돌직구를 날렸다.

그는 전국의 2~3차 병원을 대상으로 내원한 환자의 추적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폐 질환외에 지금 장기 영향을 연구하고 있기 때문애 어느 정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 장기 질환를 거치고 의심돼 진단받은 환자들의 추적조사가 병행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국민 상대 역학조사를 검토해야 한다고도 했다.

최 소장은 5천만 명 중 1천만 명이 사용했으니 이 정도되면 전국민을 상대로 조사를 해야 하는 상황이 아니냐고 강하게 압박했다.
▲최예용 소장이 2012년 피해자들 민사소송 당시 판자들이 왜곡된 자료를 보고 헤갈려서 합의를 독려했다며 판사들도 당했다고 분노했다.
어떤 이들은 이들 제품을 만들어 테러를 한 꼴이라고 지적도 들었다는 것이다.

그는 "4~5월 이 참사에 대해 난리 치다가 잠잠해 지면서 국회에서도 김이 많이 빠졌다"고 신랄하게 비판하고 "오늘 토론회에서도 구체적으로 나온 애기가 없지 않느냐"고 강하게 몰아붙쳤다.

최 소장은 이번 참사 계기를 통해 환경 의학 도입의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권고했다.

그는 "PHMG, PGH, CMIT, MIT 등 해당 가습기살균제 제품 판매 이후에 2006~2008년쯤애 소아청소년과 선생들이 가장 중요한 골든 타임을 놓쳤었다. 가장 먼저 어린이들이 무더기로 호흡곤란 증상으로 치료를 왜 받으러 왔는지, 아무런 치료를 받지 못한채 죽어갔는지, 최전선에 있는 의사분들이 중요한 조치를 취했어야 함에도 골든타임을 놓쳤다"고 안타까워했다.

또 "질본 팀장이 그렇게 하지도 못했다. 환경의학적 개념이 있었다면 기존 감염병에만 골몰하지 않고 원인이 뭘까 역학적인 조사의 필요성을 고려, 주변에서 원인을 찾으려는 생각을 조금이나 했다면 이런 참사는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고 당시 대학병원 의사들 조차도 환경의학의 개념이 없었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그는 의협내에서 환경의학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가습기살균제 참사를 겪은 후 환경의학이 하나 생겼다는 교훈과 학문.의학적 변화가 생겨야 된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최 소장은 "결국은 문제가 생겼을때 법정서 어떻게 판결이 나느냐에 따라 모든 것이 달라진다"면서 "2012년부터 피해자들이 70~80건의 민사소송을 했는데 판사들이 왜곡된 옥시 데이터를 갖고 헷갈리면서 합의하라고 독려했다"며 "그 부분이 굉장히 중요하다. 판사들도 당한 것이다. 왜곡되고 조작된 데이터와 증거에 대한 진위여부를 확인하지 않았다. 억울하게 죽어간 아이들과 피해자들이 길거리 교통사고로 죽은 것과 같은 수준으로 합의하고 말았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그는 "지금이라도 다시 그 재판의 내용을 뒤집어서라도 잘못됐다. 판사들도 당했다는 점 등을 바로잡아야 한다"며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돼야 한다고 성토했다.

한정렬  dailymedipharm@gmail.com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