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제약
일각 '국내 제약산업' 공급과잉 호도....신약조합"동의 못해"일축
제약산업 특성상 조선업 등 과잉공급 매카니즘과 달라
"제약 수익성 악화, 헬스케어코스트 줄이려는 정부 약가인하 시도때문"
신약조합 조헌제 이사, 12일 기자간담회서 일각'과잉공급 주장'비판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조헌제 이사는 현재 제약산업의 수익성 악화는 과잉공급에 의한 것이 아닌 정부의 약가인하 등이 원인이며 이에 일각에서 제약산업을 과잉공급 산업으로 호도한 것에 대해 동의할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헌제 이사는 12일 조합 회의실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철강산업 등은 중국발 과잉공급으로 생산성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독자적으로 할수 있는 것은 제약산업이며 혁신, 역량, 제조밖에 없는 것 같다"며 "기업 활력 제고 특별법(원샷법)을 보면 기업 구조조정 하는데 있어 제약산업이 과잉공급산업이라는 용역 스터디가 나온 것으로 안다. 조합 입장에서는 동의할수 없다"고 일각의 잘못된 주장을 일축했다.

그는 "아직도 가야할 길이 많고 넓은데 과잉공급이라는 것은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인해 조선업이나 철강은 초과될수 밖에 없지만 제약산업 특성상 조선업 등의 과잉공급 매카니즘과 전혀 다르다"며 "현 제약산업의 수익성 악화는 과잉공급때문인 게 아닌 헬스케어 코스트를 줄이려는 정부의 약가인하 시도때문이지, 공급경쟁 과열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고 못박았다.

조 이사는 "신흥국, 선진국, 개도국이든 제약가업이 존재하는 국가들은 제약산업 육성을 못해서 난리다. R&D영역이 500가지가 넘는다며 그럼에도 인류가 정복한 영역은 100가지도 안된다. 여전히 400가 남아 있는데 과잉공급이라고 말할수 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아직까지 시장의 니즈를 충족할수 있는 신약개발은 멀었다. 그래서 오히려 과소공급이 우려돼 R&D를 통한 과잉공급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면서 "국가 경제의 활력을 불어 넣고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제약산업의 혁신 공급을 늘려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약조합 조헌제 이사가 국내 제약산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기업 활력 제고 특별법(원샷법)에 따르면 국민 경제에 피해를 주기 전에 과잉공급업종들의 전환을 유도하는 취지이며 이 때 업종 전환할 경우에 지원을 말하는 것임에도 불구, 제약업종 전부 화장품업종으로 변경하라는 얘기냐"며 "제약산업이 과잉공급 업종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에 포함된다면 제약산업이 큰 탈이 날 것"이라고 일각의 잘못된 해석을 경계했다.

조 이사는 "아마 복제약의 과당경쟁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고 전제하고 "문제는 정부에다 대고 지원을 해달고 해야지 구조조정을 언급하면 되겠느냐"며 "시장 육성을 위한 파이를 키워달라고 해도 모자랄 판에 누구의 발상인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비판의 목청을 높였다.

그는 "시장경제 원리에 맡겨야 한다. 미국도 제약사가 3500여개가 시장에서 각축을 벌이고 있고 바이오테크 기업만 1천개가 넘는다. 그럼 4천~5천개가 제약을 종목으로 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고작 생산공장을 갖고 있는 제악사가 270개에 불구함에도 이것을 과잉공급이라고 하면 말이 되지 않는다. 실제 복제약 제조 제악사가 많아야 경쟁속에 약값도 떨어지는 것 아니냐.그럼 국민들에게도 좋은 방향아니냐"고 비판의 강도를 높였다.

조 이사는 "제약사 수를 줄이고 R&D비도 감소된다면 결국 다국적제약사에 득이 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될 것"이라며 "실제 다국적제약사에 점령당한 대만의 경우 우리와 반대현상을 보이고 있다. 다국적사 약품이 70~80%, 로컬 약품이 30%에도 미치지 않고 있다. 그러다보니 대만 정부에서는 신약산업법까지 제정하면서까지 엄청한 물량으로 지원하고 나섰다"면서 "우리가 정신차려할 때"라고 꼬집었다.

한정렬  dailymedipharm@gmail.com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