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정책/법률
2023년 1분기 보건산업 수출 52.7억 달러, 전년比 24.2%↓  

진흥원, 2023년 1분기 보건산업 수출 실적 발표

2023년 1분기 보건산업 수출 화장품의 수출 증가
의약품과 의료기기 수출 감소로 전년 동기比 24.2% 감소한 52.7억 달러 기록
의약품 19.0억 달러(△15.2%)-의료기기 14.8억 달러(△48.3%)-화장품 18.9억 달러(+2.3%)

엔데믹화에 따른 백신 위탁 생산(CMO)제품 및 체외 진단기기 수출 감소
기초·색조화장용 제품류 중심의 화장품 수출 회복
체외 진단기기 수출 진단용 시약과 실험실용 시약 등 체외진단의료기기에 포함 HSK 4단위 3822류, 9027류 등의 수출로 집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은 2023년 1분기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등 보건산업 수출 실적을 발표했다.

2023년 1분기 보건산업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2% 감소한 52.7억 달러를 기록했다. 분야별로는 의약품 19.0억 달러(△15.2%), 화장품 18.9억 달러(+2.3%), 의료기기 14.8억 달러(△48.3%) 순으로 수출 실적이 높게 나타났다.

주요 특징을 보면, 2022년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확산으로 수출이 증가했던 백신과 체외 진단기기 수출은 올해 1분기 들어 감소세를 보였으나, 화장품 수출은 중국과 일본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기초·색조화장용 제품류 중심으로 증가세를 기록했다.

‘바이오의약품’과 ‘독소류 및 톡소이드류’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백신류’의 수출 감소로 2023년 1분기 의약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2% 감소한 19.0억 달러를 기록했다.

‘바이오의약품’(10.0억 달러, +6.5%)(전체 의약품 수출의 약 52.4% 차지)은 일본(1.5억 달러, +114.7%), 헝가리(1.2억 달러, +228.8%), 스위스(1.2억 달러, +335.8%), ‘독소류 및 톡소이드류’(0.7억 달러, +128.8%)는 미국(0.1억 달러, +782.6%), 브라질(0.1억 달러, +318.6%)을 중심으로 수출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2022년 수요가 집중된 ‘백신류’(1.0억 달러, △77.4%)는 호주(2022.1Q 3.1억 달러→2023.1Q 0.1억 달러, △95.9%)와 대만(2022.1Q 1.0억 달러→2023.1Q 0달러, △100.0%)에서 수출이 급감했다.

‘방사선 촬영기기’와 ‘의료용 레이저 기기’의 수출은 증가 추세이나, ‘체외 진단기기’의 수출 감소로 2023년 1분기 의료기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48.3% 감소한 14.8억 달러를 기록했다.

‘방사선 촬영기기’(1.7억 달러, +23.4%)는 러시아(0.2억 달러, +70.8%), 독일(0.1억 달러, +81.8%), ‘의료용 레이저 기기’(0.9억 달러, +10.0%)는 인도(0.1억 달러, +88.1%)와 일본(0.1억 달러, +41.9%)을 중심으로 수출 증가세를 보였다.

코로나19 안정세가 이어지면서 전세계적으로 관련 제품의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체외 진단기기’(3.3억 달러, △80.8%) 수출도 대부분의 국가에서 감소했으며, 특히 미국(1.9억 달러, △56.7%), 일본(0.2억 달러, △90.2%), 캐나다(0.01억 달러, △99.5%)에서 크게 감소했다.

‘기초화장용 제품류’와 ‘색조화장용 제품류’의 수출 증가세에 힘입어 2023년 1분기 화장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한 18.9억 달러를 기록했다.

‘기초화장용 제품류’(14.3억 달러, +2.8%)(전체 화장품 수출의 약 75.5% 차지) 수출은 중국(5.1억 달러, △18.6%)과 일본(1.1억 달러, △17.9%)에서 감소하였으나, 그 외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했으며, 특히 베트남(0.9억 달러, +71.6%)과 러시아(0.7억 달러, +46.4%)의 수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색조화장용 제품류’(2.4억 달러, +14.6%) 수출은 중국(0.7억 달러, △28.6%)에서 감소했으나, 일본(0.6억 달러, +57.8%)과 미국(0.5억 달러, +53.0%)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진흥원 한동우 보건산업혁신기획단장은 “코로나19 안정세가 이어지면서 각국의 방역조치 완화 등이 국내 보건산업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코로나19 영향력에서 벗어나 새로운 보건산업 수출 돌파구 마련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한정렬 기자  jrh05@hanmail.net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정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