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정책/법률
질본,6일‘일본뇌염 경보’발령...전남서 작은빨간집모기 밀도 50% 이상


야외활동시 밝은 색 긴 옷 착용하고, 노출부위엔 모기기피제 사용 주문
생후 12개월∼12세 자녀, 일정에 맞춰 예방접종 주문
안전한 환경 위해 유충서식지(고인 물) 없애야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전남지역에서 일본뇌염매개모기 '작은빨간집모기'가 경보발령기준 이상으로 발견돼 지난 6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했다고 8일 밝혔다.

▲작은빨간집모기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수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고 전체 모기밀도의 50% 이상 일 때 경보발령을 내린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띠고 뚜렷한 무늬가 없으며 주둥이의 중앙에 넓은 백색 띠가 있는 소형모기(약4.5mm)며 모든 작은빨간집모기가 일본뇌염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지는 않는다.

질본은 "전남지역에서 7월 3일 채집된 모기 중 작은빨간집모기의 하루 평균 채집 개체수가 962마리로 전체 모기의 64.7%를 차지했다"며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예방백신이 있어 일본뇌염 국가예방접종 지원 대상이 되는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어린이는 표준일정에 맞춰 예방접종을 완료해야 한다"고 말했다.

질본은 모든 성인에 대해 예방접종이 권고되지는 않지만, 면역력이 없고 모기 노출에 따른 감염 위험이 높은 대상자의 경우 예방접종이 권장된다고 말했다.

최근 10년간 일본뇌염 감시 결과, 환자 수는 연간 평균 20건 내외로 발생하고 있으며, 신고된 환자의 90%가 40세 이상으로 나타나 해당 연령층에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아울러, 야외 활동 시와 가정에서 아래의 모기회피 및 방제요령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Q. 일본뇌염이란 어떤 질병인가요?
A.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에 물렸을 경우 혈액내로 전파되는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의해 급성으로 신경계 증상을 일으키는 감염병으로, 뇌염이 발생하면 사망률이 높고, 회복되더라도 신경계 합병증 발생 비율이 높은 질병입니다.

Q. 일본뇌염의 임상적 특성은 어떠한가요?
A.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일본뇌염 매개모기에 물린 사람의 99%이상이 무증상이며 일부에서 열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극히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 초기에는 고열, 두통, 구토, 복통, 지각이상
․ 급성기에는 의식장애, 경련, 혼수, 사망에 이를 수 있고
․ 회복기에는 언어장애, 판단능력저하, 사지운동저하 등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일본뇌염 매개모기에 물리면 일본뇌염이 발생하나요?
A. 모든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가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렸을 경우 극히 일부에서 일본뇌염이 발생합니다. 질병관리본부에서는 매년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일본뇌염 매개모기에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계속 검사하고 있습니다.

Q. 일본뇌염 환자와 접촉하면 일본뇌염에 걸릴 수 있나요?
A. 일본뇌염은 사람 간에는 전파되지 않습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를 일본뇌염 모기가 흡혈한 후 사람을 물었을 경우에 전파됩니다.

Q. 일본뇌염 매개모기 유충은 어디에 살고 있나요?
A. 일본뇌염 매개모기는 주로 논과 연못, 관개수로, 미나리꽝, 빗물고인 웅덩이 등 비교적 깨끗한 물에서 서식합니다. 모기 구제는 성충보다는 유충구제가 더욱 효과적이므로 거주지 주변 웅덩이 등 고인 물이 없도록 모기 방제를 철저히 해주시기 바랍니다.

Q. 어린이 일본뇌염 예방접종은 언제 받나요?
A. 매년 여름철에 받아야 하는 계절접종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일본뇌염 예방접종은 권장 접종 시기에 맞춰 연중 어느 때나 접종받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불활성화 백신=총 5회 접종 ‧1차~3차(생후 12~35개월), ‧4차(만6세), 5차(만12세)
생백신=총 2회 접종 ‧1차~2차(생후 12~35개월)
<용어설명 >
- 불활성화 백신: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열이나 화학 약품으로 불활성화 시켜 생산한 백신
- 생백신(약독화 생백신):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반복적으로 계대배양하여 약화시켜 생산한 백신

이인선 기자  eipodo@naver.com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인선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