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제약
"R&D자금 잘개 쪼개 나눠 줘" 노연홍, "계획안, 혁신 R&D비용 사용법 담겨"



거버넌스 체계의 결핍이 원칙없는 R&D비용 분배와 무관치 않아
"10년에 1조, 15년에 2조 블럭버스트 신약 개발 목표 성과 단기적으로 봐"

육성 지원 종합계획 "범정부적 거버넌스 체계 구축 강한 의지 담겨"
노연홍 제약바이오협회장, 29일 취임기자간담회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

노연홍 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제3차 제약바이오 육성 지원 종합계획과 관련 "먼저 범정부적인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강한 의지가 담긴 것으로 보고 있다"며 "'R&D자금 사용방법도 혁신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는 취지로 이전과는 차별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거버넌스 결핍이 잘개 쪼개 지원되는 무원칙의 R&D자금의 배분에 쐐기를 박을 것이란 지적이다.

노연홍 회장은 29일 방배동 제약협회서 가진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체계화된 거버넌스 구축, 혁신적인 R&D 투자 방법 등이 담긴 육성 지원 계획안이 원활하게 잘 진행된다면 기존과는 다른 한 번의 펜덤 정부를 이끌어 낼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지 않을까 한다"고 정부지원에 기대감을 나타냈다.

다만 "블럭버스터 신약을 몇 개 만들겠다. 정부의 이런 목표가 연도만 바뀌면 거의 같은 내용으로 일관해 상당히 회의적 반응이 일어 왔고 충분히 그렇게 생각할수 있다"는 노회장은 "그래서 이번에는 선언적인 면에 그치면 안된다"고 신약개발의 굳은 의지를 피력했다.

즉 "지금 정부에서 발표한 내용은 이전 정부의 정책과 비슷한 목표들이 얘기됐고 어떤 것들은 이미 목표점을 지나갔지만 이번에는 꼭 실현될수 있다고 보는 것 중에 하나가 '거버넌스 체계를 바꾸겠다'는 것을 건드린 부분"이라고 콕 짚었다.

노 회장은 "거버넌스의 결핍으로 인해 한정된 R&D비용이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해 나온 부산물이 국내 R&D 현실이 아니겠느냐"며 "이번 정부에서 발표한 내용 중에 일부가 신약 개발 R&D자금의 사용과 방법에 대해서 혁신을 하겠다는 내용이 같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우리가 미국 등의 선진 방식을 보충적으로 받아들이고 실행해 가게 지혜를 모아가야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향후 정부의 R&D비용 지원과 관련 소신있는 발언을 이어갔다.

그는 지금까지 국가 경제력에 비해 비교적 많은 돈이 투자 됐다고 했지만 과연 구체적인 성과물이 나온 게 있느냐는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노 회장은 이 분야의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전문가들의 입을 빌어 "R&D자금을 너무 조그맣게 쪼개서 나눠주고 있다"며 "그러니까 특정 분야는 상당히 큰 자본이 들어가야 되는데도 불구, 필요한 만큼의 자금이 충분히 투입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리고 "제약 산업에서 성과가 나오려면 짧게 보면 10년에 1조 얘기하고 좀 길게 보면 15년에 2조 (블럭버스트 신약 개발)이렇게 얘기하는데도 성과를 너무 단기적으로 보고 있다"며 "산자부 등 부처간 엇박자, 연구분야의 비연계 등으로 결국 최종적인 산출물이 아웃풋이 아닌 아웃컴이어야 함에도 분명한 연구 목표 부재로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반면 "미국의 NIH 경우 신약개발과 관련 우선순위에 맞게 배분하는 체계로 가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한 것들이 우리에게 답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며 "이는 신약 창출 전략이고 (계획안에 포함돼 있기에) 그 부분이 실효성 있게 갔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또 원료약의 자급화 실현 가능성을 위한 대안에 대해 "현재 국내 제약사에서 만드는 원료약을 사용하면 약가 우대 정책이 적용되고 있긴 하다. 다만 기간이 1년 정도로 제한되는 상황에서 중국이나 인도의 원료약과 가격 경쟁력에 떨어져 규모가 줄어들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박근혜 정부 당시 바이오기술 및 제조에 대한 행정명령을 발동했고 골자는 5년내 원료약 생산량의 25%를 국내에서 생산해 내겠다는 것이었고 이번에 발표한 방대한 계획은 원료약 생산은 지속가능한 바이오 기술을 활용하는 쪽으로 가겠다는 것이다. 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좀 더 깊이 연구를 해 봐야 되겠지만 결국 (자급자족으로)중국 등 해외 원료약 의존에서 벗어나는 것 아니겠느냐"고 관망했다.

그는 :"분명한 것은 원인을 찾아내 꼭 필요한 원료 자급율을 지난 5년 25% 밑으로 머물고 있는 것을 최소한도 50% 이상을 생산해 낼수 있게 추진해 나가야 한다"며 "'원료약 자격 우대'라는 단기 1년 운영안을 5년으로 장기 연장하고 중요 원료약을 발굴해 나가는 작업부터 시작해야 할 시점"이라고 방점을 찍었다.

한정렬 기자  jrh05@hanmail.net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정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