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정책/법률
지난해 화장률 88.4%...화장시설 전국 60곳뿐

국내 화장률 2014년 79.2%→2019년 88.4%
부산 94.8%로 가장 높고, 제주 75.4%로 가장 낮아

전국 화장시설 2014년 55곳→2019년 60곳
화장시설 사용료 타지역 이용시 평균 6배 더 비싸

<전체 사망자 대비 화장 비중>(2017~2019년)

▲출처:보건복지부

지난해 전국 화장률이 88.4%로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화장시설은 60곳으로 수요에 비해 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서울송파구병, 보건복지위원)이 보건복지부로 제출받은 ‘전체 사망자 대비 화장 비중(2014~2019)’과 ‘전국 화장시설 현황’에 따르면 국내 화장률은 2014년 79.2%에서 지난해 88.4%로 매년 증가해왔으나, 화장시설은 2014년 55곳에서 지난해 60곳으로 5곳이 증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화장률은 부산이 94.9%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인천 94%, 경남 93%, 울산 92.9%, 경기 91.4%, 서울 91.1%, 대전 89.7%, 광주 89.3%, 대구 89.1%의 순으로, 전국 평균인 88.4%보다 높았다.

반면 제주의 화장률은 75.4%로 가장 낮았으며, 그 다음으로 충남 77.4%, 경북과 충북 각각 80.8%, 전남 82.4%, 강원 83.9%, 세종 84%, 전북 85.6% 등의 순으로 낮았다.

남 의원은 “부산과 인천의 경우 전국에서 화장률이 가장 높음에도 불구하고, 화장시설은 각 1곳뿐”이라며, “시설이 부족해 타 지역의 화장시설을 사용할 경우 관내 주민에 비해 평균 6배의 추가 비용이 발생해 상대적으로 높은 요금을 내야하는 부담이 있고, 관내 화장시설이더라도 지역별로 3배 정도의 사용료 편차가 있다”면서, “화장시설 사용료에 관한 전국적 표준이 제시될 필요가 있고, 지역별 편차를 줄이기 위해 수요에 맞는 화장시설 확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화장시설의 노후화도 심각한 실정”이라면서, “화장로의 소모성 재료를 정기적으로 교체하지 못할 경우 악취발생 혹은 화장 중단 사고 발생 우려가 있고, 화장로 수명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기적인 유지관리 및 노후 설비의 적기 교체가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또한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자연장지(수목장림) 현황 및 이용추이’에 따르면, 자연장지 이용실적은 2017년 총 2만1220건 이었지만, 2019년 총 2만5753건으로 늘어났고, 시설은 123곳에서 144곳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 의원은 “현재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묘지관리 후손의 부족, 편리성 추구 및 친환경에 대한 관심 증대에 따라, 화장 중심의 장례문화, 자연장 선호는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로 갈 것”이라면서, “자연친화적이고 양질의 자연장지 조성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인선 기자  eipodo@naver.com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인선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