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의료기기/치과
이코노미스트 임팩트, ‘2023년 건강포용성지수’ 발표…한국 8위 기록

헤일리온, 연구비 전액 지원-연구기관 이코노미스트 임팩트, 지수개발...'2022년 첫 조사' 실시

GenZ 등 젊은 세대 45%, 의료 서비스에서 소외된다고 느껴
한국 8위, 2년 연속 아시아 국가 중 1위로 헬스케어 강국 입증… 건강정보 이해력은 향상 필요

전 세계 5명 중 3명은 의료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 겪어…진료 예약을 가장 저해요인(38%)으로 응답
고소득국가에서 건강보건 정책과 실제 의료서비스 경험의 간극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2023년 건강포용성지수, 월드뱅크에서 소득기준 선정한 40개국 대상 42,000명 조사 결과 발표

헤일리온, 건강 포용성의 관점에서 누구나 건강할 권리 누리는 헬스케어 환경 구축 위해 노력 예정

▲‘건강포용성 지수’에서 한국이 8위로 2년 연속 아시아 국가 중 1위에 올랐다.

작년에 이어 올해로 두 번째 실시한 국가별 건강 평등성을 알아보는 ‘건강포용성 지수’ 결과가 발표됐다. 한국은 40개 국가 가운데 8위를 차지했으며,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아시아 국가 중 1위에 올라 헬스케어 강국임을 입증했다.

건강포용성 지수는 월드뱅크가 제시한 국가별 소득수준(1인당 GDP, 2021년)을 기준으로 선정한 총 40개국을 대상으로, 건강 보건 정책 및 헬스케어 환경, 건강정보 이해력 등을 살펴보는 헬스케어에 특화된 글로벌 조사이다.

헤일리온은 연구비 전액을 지원했고 연구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임팩트(Economist Impact)가 지수를 개발해 2022년 첫 조사가 실시됐다.

◆한국 8위로 아시아 1위…건강정보 이해력과 셀프케어 역량은 향상 필요

한국은 작년보다 2계단 하락한 8위(74.5점, 100점 만점)로 조사되었으나, 아시아 국가 중에는 가장 높은 순위를 보이며 굳건한 헬스케어 강국임을 입증했다.

한국은 건강보건 정책 및 인프라를 살펴보는 ‘사회적 측면의 건강’(78.9점), 의료보장수준과 비용, 의료 인력 등을 살펴보는 ‘포용적 건강시스템’(69.1점), 의료접근성과 건강문해력을 살펴보는 ‘커뮤니티와 사람’(76.3점)까지 3가지 대표 척도에서 골고루 우수한 점수를 받았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낸 세부 항목도 있다. 국민들의 건강정보 이해력(38.7점) 및 개인의 건강 리스크에 대한 인지(31.6점), 의료인력의 부족(일반의사 33.8점, 치과의사 33.3점, 약사 37.9점), 이민자들에 대한 의료보장(40점), 원격진료(50점) 등이다.

특히 한국은 작년에 이어 국민들의 건강정보 이해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정보 이해력이란 올바르게 건강 정보를 습득하고 인지하는 역량으로, 자구적인 일상 건강 관리를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셀프케어 역량을 의미한다. 2020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조사에서도 한국인의 43%가 부적당한 수준의 건강정보 이해력을 가진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건강보건정책과 서비스 경험에 대한 간극은 선진국에서 더 높아…젊은 세대들의 소외 현상

2023 건강포용성 지수는 작년과 동일한 40개국을 조사하되 4만2000명의 해당 국가 국민들을 대상으로 심화 질의를 실시하였다. 전반적인 주요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5명 중 3명(66%)은 의료서비스 접근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가장 큰 요인은 진료 예약의 어려움(38%), 진료를 위한 이동시간과 비용 문제(28%)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보건 정책과 실제 받는 의료서비스와의 차이는 고소득국가일수록 더 크게 느꼈다.
GenZ, 밀레니얼 등 젊은 세대의 45%는 젊기 때문에 의료 서비스에서 소외되거나 충분한 서비스를 못 받는다고 여겼다.
Gen Z의 44%는 소셜 미디어를 믿을 수 있는 건강 정보와 조언을 받는 채널로 여긴다.
전체 응답자의 20%는 정신건강 관련 의료서비스가 부족하다고 답했다.

한편 올해 조사에서는 호주(81.1점)가 건강포용성이 가장 높은 국가로 나타났다. 영국은 작년 1위에서 3위로 떨어졌으며, 미국은 지난 해 11위에서 올해 4위로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전반적으로 지난 해에 비해 조사 국가의 85%가 점수가 하락했으며, 특히 고소득 국가의 평균 점수는 8.9점이 떨어져 보다 각별한 관심과 지원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2022년 81.9점, 2023년 73점)

◆건강포용성, 누구나 건강할 권리 누리도록 포용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건강의 가치

건강포용성(Health Inclusivity)이란 장애, 나이, 인종, 성별, 소득, 성적지향 등 개인적인 조건으로 차별받지 않고 누구나 건강할 권리를 누려야 한다는 포용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건강의 가치이다. 더 많은 사람들의 일상건강 수준이 향상되어야 함을 뜻한다.
지난해 7월 GSK로부터 분사하여 출범한 컨슈머헬스케어 전문기업 헤일리온(Haleon)은 인류애로 더 나은 일상의 건강을 전하겠다는 목적 아래 최초의 헬스케어 관련 지수 개발을 지원하였다. 향후 2024년까지 3년간 연구 조사를 지원할 계획이다.

건강포용성 지수의 꾸준한 측정을 통해 건강 불평등의 현황과 원인을 파악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국민들의 건강정보 이해력 증진과 헬스케어 시스템 접근성 향상, 잘못된 편견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헤일리온은 센트룸·센소다인·파로돈탁스·오트리빈·폴리덴트 등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20여개 이상의 제품을 170개국에서 판매하며 수백만 명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의료 전문가,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받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정렬 기자  jrh05@hanmail.net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정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