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정책/법률
아크릴아마이드 등 저감화 미달...보고서에는 '달성' 허위보고
신의진 의원, "식약처의 허술한 식품 발암물질 대책"질타
<b>▲21일 오송서 열린 식약처 국감에 증인으로 나선 식약처장 및 간부들 모습.</b>
아크릴아마이드 등 식품에서 발생하는 발암물질에 대하여 식약처가 모니터링만 실시하고, 저감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조차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신의진 의원(보건복지위)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발암물질에 대한 사업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6년부터 2013년 9월까지 국내에서 유통중인 감자스낵 등 일부 식품에 발생하는 자연 발암물질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을 세웠지만 부실한 모니터링과 함께 아무런 대책도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자료에 따르면, 식약처는 지난 2006년부터 식품에서 자연적으로 발암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우려해 ‘아크릴아마이드’, ‘에틸카바메이트’등의 권고기준을 설정했다.

아크릴아마이드는 감자, 커피, 팝콘 등을 튀기거나, 볶을 때 나오는 화학물질로, 아크릴아마이드를 많이 섭취하면 신경계통에 마비 등 이상에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세계적으로 음식내에 이를 줄이기 위해 연구가 조사되고 있다.

에틸카바메이트는 포도주, 위스키, 청주, 간장, 요구르트 등 자연발효주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질소화합물이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미생물 대사에 의해 변화하여 생기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식약처는 발암물질인 아크릴아마이드의 식품 함량을 조사하고 저감화를 하기 위해 2006년부터 감자스낵에 대해 모니터링을 실시해왔다.

그러나 식약처가 보유하고 있는 자료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4년간의 모니터링 결과일뿐 대책을 발표한 2006년~2009년까지는 모니터링 자료조차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식약처는 자료가 없는 이유에 대해 2006년~2009년도에도 모니터링을 했지만 데이터가 없다는 어이없는 답변을 해 왔다.

2010년부터 조사한 모니터링 결과, 동일제품이더라도 아크릴아마이드의 수치가 매년 감소되지 않고, 들쑥날쑥해 검사의 신뢰성마저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풍000회사의 Y감자스낵의 아크릴아미드 결과수치는 2010년의 경우, 기준치 이하인 0.44ppm이었으나 2011년은 모니터링을 하지 않았고 2012년 상반기는 1.244ppm, 하반기는 2.275ppm, 2013년은 1.431ppm을 기록했다.

다른 제품들도 검사 할때마다 결과수치가 달라져 식약처가 계획한 저감화 계획이 실효성이 있는지 의문. ? 해000社의 B감자스낵의 아크릴아미드 결과수치는 2012년의 경우 5.435ppm이었으나, 2013년는 2.891ppm을 기록, 여전히 기준 1ppm 이하로 저감화되지 않았다.

또 모니터링을 하려면 동일제품을 선정해 매년 추적조사를 실시해야하지만 매년 모니터링하는 제품도 달라 효과적인 모니터링 방법이라고 볼 수 없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결과를 토대로 의원실에서 식약처에 ①저감화 달성했다는 근거와 ②신기술 및 교육내용 등의 근거자료를 요청한 결과, 식약처는 “저감화를 100% 달성된 것은 아니지만, 모니터링을 하고 있어 ‘달성’이라고 표현한 것”이라고 밝혔다.

▶감자스낵에 발생하는 아크릴아미드 조사할 때마다 ‘들쑥날쑥’
아울러 “신기술은 감자스낵을 만들 경우 낮은온도(120도 이하에서 튀김)에서 조리하고 동시에 보관을 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식약처에서 밝힌 신기술은 모니터링을 실시하겠다는 2006년 이전에 이미 문헌 등을 통해 소개된 방법이었고 인터넷에 검색만 해도 나오는 방법(관련 문헌: 2003년 이화여대 오상석 ‘식품 중의 아크릴아마이드 모니터링’ 등)이다.

이외에도 과실주등에서 검출되는 발암물질인 에틸카바메이트 관련 제품 등에 대해서는 2010년 이후로 모니터링 조차 실시하지 않다가 2012년에 다시 검사를 실시했다.

이에 대해 식약처는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와인류에 주로 검출되지 않아 모니터링을 하지 않다가 2012년 벤조피렌사건 이후로 다시 모니터링했다는 이해할 수 없는 답변을 해 왔다고 신 의원은 지적했다.

이처럼 모니터링 검사조차 제대로 하지 않고 있음에도, 식약처는 2012년 성과보고서를 통해 유해물질 저감화를 달성했다고 보고했다. 2012년 회계연도 결산 사업설명자료에는 “유해물질 저감화 TF운영을 통해 신기술 적용 및 맞춤형 교육 등 실시”라고 보고한 바 있다.

2006년 당시 식약청은 식품에 발암물질 저감화를 하겠다고 국민들을 상대로 호언장담했지만 모니터링과 신기술에 대한 예산조차 편성하지 않고 기업의 자체보고만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는데 그쳤다.

결국, 식약처는 허술한 모니터링만 해놓고 성과보고서에는 위해예방 체계구축사업 목표를 달성했다고 허위로 보고해 정부와 국민을 상대로 거짓말한 셈이다.

신 의원은 "식품사고가 생기면 말로만 국민들에게 안심을 주는 면피성 대책보다는 자체 예산을 편성해 독립적이고 효과적인 모니터링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선진국의 경우, 어떻게 저감화 대책을 하고 있는지 벤치마킹이 필요하며 기술상 어려운 부분을 할 수 있는 것처럼 호도해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를 근절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김인수  dailymedipharm@gmail.com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icon인기기사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