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뉴스 제약
코오롱생명과학 'KLS-2031',美임상1상/2a상 FDA IND 승인

신경병증성 통증 유전자치료제로 美 FDA 새로운 도전
GAD65, GDNF, IL-10 등 3종류의 치료 유전자를 이용해 1회 국소 주사로 치료 계획

2019년부터 美서 18명 대상으로 임상을 시작해 24개월 관찰 예정
"유전자치료제 전문기업으로 인정받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

코오롱생명과학(대표이사 이우석)은 신경병증성 통증 유전자 치료제인 KLS-2031(이하 KLS-2031)의 미국 1상/2a상 임상 진행을 위한 FDA의 IND 승인이 완료했다고 11일 밝혔다.

신경병증성 통증 유전자치료제인 ‘KLS-2031’은 세계 최초 골관절염 세포유전자치료제인 ‘인보사’의 후속 파이프라인으로 기존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 방식과는 달리 유전자를 이용한 주사 요법의 치료제다.

인보사 출시 이후 유전자치료 전문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새로운 도전이 시작될 것으로 보여진다.

▲통증 측정실험 von frey filament : 신경병증성 모델(SNI)에서 통증이 유발된 실험용 쥐(왼쪽)에게 자극을 주었을 때 움추려드는 모습과 KLS-2031 투여 후 정상적으로 통증자극을 인식하는 실험용 쥐(오른쪽)의 모습

신경병증성 통증이란 신체의 손상이 아닌 신경계의 손상이나 기능적 이상으로 발생하는 통증을 말한다.

난치성이며 만성적으로 오래 지속되는 특성이 있으며 일반인의 경우 통증으로 느끼지 못하는 자극이지만 환자들에게는 극심한 고통을 주는 감각신경계 질환이다.

‘KLS-2031’은 2개의 ‘아데노 부속 바이러스 전달체 (AAV vector)’에 3개의 치료 유전자(GAD65, GDNF, IL-10)를 탑재한 유전자치료제다. 첫 번째 전달체에는 ‘GAD65’유전자를 탑재해 뇌로 가는 통증신호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며 두 번째 전달체에는 ‘GDNF’와 ‘IL-10’ 유전자를 탑재해 각각 손상된 신경을 보호하고 염증을 막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를통해 통증 완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시술방식은 1회 국소 주사로 진통 효능이 장기간 지속되도록 개발되었으며 기존의 치료제로는 효과를 보지 못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을 겪고있는 환자들을 타겟으로 하고 있다.

코오롱생명과학이 미국에서 진행 할 이번 1상/2a상의 계획은 미국 2개 임상기관을 통해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를 목적으로 2019년도 내에 임상을 개시할 예정이며, 시험대상은 18명으로 투약 후 24개월 관찰을 할 계획이다.

‘KLS-2031’ 연구는 유전자치료제 분야 등 국내기업의 글로벌 도약을 위해 보건복지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출연해 2015년부터 3년간 지원하는 ‘글로벌 첨단바이오 의약품 기술 개발 사업과제 지원’으로 수행됐다.

코오롱생명과학의 이우석 대표는 “세계 최초 골관절염 유전자치료제인 인보사의 성공적인 상업화 이후 후속파이프라인으로 연구/개발중인 KLS-2031의 미국 FDA의 임상승인은 코오롱생명과학이 글로벌시장에서 유전자치료 전문기업으로 인정받고, 국내의 최첨단 유전자 연구수준을 해외 바이오시장에 한층 더 알릴수 있는 긍정적인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데노 부속 바이러스 전달체(AAV vector : Adeno-Associated Virus)=아데노 부속 바이러스(이하 AAV)는 체내 유전자 치료방법의 대표적인 운반체로 장기적으로 타깃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할 수 있다. AAV는 안정성이 높고 면역 반응이 매우 낮아 유전자 치료제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기존 다른 전달체에 비해 병원성이 없다는 것이 주요 장점으로 부각되어 개발의 주를 이루고 있다. 단일 유전자 질환, 암, 신경계질환 분야에 널리 응용되고 있어 미래에는 더 활용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신경병증성 통증=신체의 손상이 아닌 신경계의 손상이나 기능적 이상으로 발생하는 통증으로 난치성이며 만성적으로 오래 지속되는 특성이 있으며, 정상인의 경우 통증으로 느끼지 않는 자극이지만, 환자들의 경우 참을 수 없는 극심한 고통을 겪게되는 감각신경계 질환이다. 이러한 통증으로 고생하는 환자는 삶의 질이 현저히 저하되어 통증 자체 뿐만 아니라 수면장애, 우울증과 같은 정서장애, 사회 적응력 저하로 인한 생산성 저하 등의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기존 진통제 및 마약성 치료제 등의 약물치료제의 경우 다양한 원인으로 표준치료가 잘 반응하지 않고,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여러 종의 진통체 복합처방으로 부작용 증가, 마약성 진통제의 오남용과 사망사례가 급증하고 있어, 만성통증 치료는 unmet medical needs가 매우 높은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유희정 기자  y7216@naver.com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희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여백
여백
여백
https://www.kpbma.or.kr/
bannerManager
여백
Back to Top